1918년 독감이 지나가고 난 뒤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제일 중요한 게, 원인균이 무엇이냐 하는 거다. 당시만 해도 바이러스의 존재를 몰랐으니, 독감 환자들에게서 자주 나오는 Hemophilus influenza가 독감의 원인균으로 생각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균을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켜보니 독감에 안걸리자,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그당시 어떤 실험을 했느냐면...

1918년 11월, 62명의 죄수를 불러다가 사면을 해줄 테니 실험에 응하라고 했다. 아무리 죄수지만 사형수도 아니고, 사형수라고 해도 자기가 죽을지도 모르는 실험에 응하라고 하는 건 좀 너무했다. 방법도 무진장 원시적이었다.

[...독감으로 사경을 헤매는 환자들의 코와 목에서 진득진득한 점액을 채취했다...이것을 죄수의 코와 목구멍에 뿌렸고, 다른 집단에는 눈에 떨어뜨렸다. ...독감 환자의 코에서 콧물을 빼내 지원자의 콧속에 넣기도 했다...세균은 통과하지 못하고 바이러스만 통과하는 여과기에 채취한 점액을 통과시키고, 그걸 지원자들에게 뿌렸다..]
좀 심하지 않는가? 남의 콧물을 자기 코에 넣다니, 생각만 해도 넘어오려고 한다. 심지어...

[지원자들을 ...죽어가는 독감 환자들에게 데려갔다. ...각 지원자들은 병상에서 환자와 얼굴을 가깝게 맞대고 환자의 악취 나는 숨을 들이마시며 5분 동안 이야기를 나누어야 했다...피실험자는 환자가 내뿜는 숨을 허파 속까지 깊이 들이마셨다...독감 환자와 얼굴을 맞대고 환자의 기침을 5회 이상 받았다]

정말 너무하지 않는가?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할 수는 있다고 해도, 어찌 이런 비윤리적인 실험을 할 수가? 다행히도 독감에 걸린 지원자가 한명도 없어서 그렇지, 몇명이라도 죽었다면 나중에 난리가 나지 않았을까 싶다. 다른 곳에서는 건강한 일반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기도 했는데, 수천만의 목숨을 앗아간 독감에 기꺼이 실험대상으로 나선 사람들이 있었기에 우리가 독감을 무서워하지 않을 수 있는 게 아니겠는가.

<실미도>라는 영화는 사형수들을 인간병기로 만들어 북에 파견하기로 계획했던 실제사건을 다루고 있다. 비윤리적이긴 해도 감옥에 있다보면 이런저런 유혹에 빠질 수 있는 법,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지금도 어느 감옥에서는 죄수들에게 조류독감을 감염시키는 실험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 그러니 죄 짓지 말고 착하게 살아야 한다. 워낙 흉흉한 세상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