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이) 청과 러시아, 일본 가운데 어디로 가야 할지에 대해 토론을 거친 후 차선책으로 일본을 선택했으며 이는 역사에 기록돼 있다"
90년대 초부터 숱한 망언으로 물의를 빚는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 도지사가 엊그제 한 말이다.
<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 >을 쓴 인기작가이기도 한 그가 툭하면 망언을 되풀이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망언을 하고, 주변국에서 그를 비난할수록 인기가 더 오르기 때문이다. 그렇게 본다면 무시하는 것이 상책일 듯도 한데, 그의 지위가 지위니만큼 그냥 넘어갈 수도 없는 일, 그의 망언이 나올 때마다 우리 측에서는 꼬박꼬박 항의를 한다. 어제도 주일 대사가 그를 만나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고 한다.

침략행위를 반성하기는커녕 정당화하려는 일본의 속성에 대해서는 우리 모두 치를 떤다. 그런데 그런 얘기가 다른 나라 사람도 아닌 한국인에 의해 발설된다면? 이론상으로는 더 흥분해야 말이 된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정말 그런 일이 있냐고? 대표적인 보수논객 복거일이 얼마 전에 펴낸 <죽은 자들을 위한 변호>의 일부다.

[일본의 조선 합병은 공식적인 행위였고 모든 다른 나라들의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조선사람들 대부분은 일본의 통치를 공식적이고 합법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다(414쪽)]

[1960년대 이후 한국경제가 이룬 놀라운 성취는 일본에 의한 조선 사회의 강제적 개화에 바탕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331쪽)]

[일본의 식민통치는 조선 사람들이 생존할 만한 환경을 제공했다. 정치적 관심을 거두고 독립을 꿈꾸지 않으면, 식민지 조선은 그런대로 살아갈 만한 세상이었다(398쪽)]

[어떤 통치의 성격과 효율은 궁극적으로 인구 추세에 반영된다.....식민지 시기 조선인 인구는 비슷한 시기의 아시아나 세계인구보다 빠르게 늘어났다...일본의 식민통치 아래서 조선 사람들이 상당히 잘 살았다(11-13쪽)]

일부만 가지고 책 전부를 폄하하는 게 아니냐고? 글쎄다. 어찌되었건간에 그 책의 주장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때는 저항할 처지가 아니었다구. 일본 애들이 워낙 악독했으니까..그런데 사실 저항할 필요도 없었어. 일본 애들이 사실은 좋은 일들을 많이 했거든(고종석 저, 인물과 사상 28권, 336쪽)]

난 이 책에 실린 내용들이 이시하라 신타로의 망언과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른다. 일본 사람이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면 망언이고, 우리나라 보수논객이 말하면 '합리적인 말'이 되는 것일까? 그런 게 아니라면, 우리 사회가 이 책에 보이는 침묵은 도무지 이해하기가 불가능하다. 자칭 '민족지'인 동아일보가 이 책에 관한 기사를 크게 실어줘, 판매에 도움을 준 것도 내 머리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알라딘에 오른 독자서평의 일부다.

"복거일을 다시 보게 한 명저라고 말하고 싶다(kje0525)"
"한국인이면 놓쳐서는 안될 책이라고 생각한다(간달프)"

이시하라가 이런 사태를 본다면 얼마나 비웃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민족정기라는 것은 복거일의 말처럼 "생산성이 낮은", 그래서 버려야 할 쓸데없는 것일까, 아니면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소중한 것일까. 만일 전자라고 생각한다면, 일본에 대해 더이상 사과를 묻지 말자. 그들의 망언에 흥분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