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신호 - 모든 범죄에서 당신을 안전하게 지키는 법
가빈 드 베커 지음, 최정아 옮김 / 황금가지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시절, 이른 아침에 친구집을 가는데 섬뜩한 기분이 들었다. 무시하고 계속 가다가 뒤를 돌아보니, 모자에 마스크를 쓴 아저씨가 날 따라오고 있다. 순간적으로 생각했다. '유괴범이다!' 어머님께 배운대로 큰길로 나가 소리를 지르는 대신, 난 친구집이 있는 막다른 골목에 접어들었다. 난 뛰고 그는 걸었지만 차이는 점점 좁혀졌다. 친구집이 보였다. 난 있는 힘껏 대문을 밀었고, 거짓말처럼 대문이 열렸다. 난 유괴범이라고 소리치며 친구를 불렀는데, 그놈은 대문을 열고 들어와 잠깐동안 날 째려보다 돌아갔다. 그 문이 열리지 않았다면 내가 이렇게 편안히 앉아 글을 쓰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내가 섬뜩한 기분이 든 이유는 무엇일까? 눈은 정확히 보지 못했지만, 내 동물적인 감각이 그의 존재를 파악했던거다. 푹 눌러쓴 모자에 마스크, 체크무늬 잠바, 손에 든 멍키 스패너, 게다가 귀티가 나는 내 모습까지. 내 육감은 이런 것들을 종합해 내게 위험신호를 보냈지만, 내 뇌는 그걸 무시한 채 위험하기 짝이 없는 좁은 골목으로 들어갔던 거다.
<범죄신호>를 쓴 가빈 드 베커는 일관되게 말한다. 직관을 믿으라고. 모든 인간에게는 위험을 감지하는 동물적인 감각이 있다고 말이다. 예컨대, 편의점에 들어갔다 예감이 안좋아 곧바로 나온 한 남자는 뒤이어 벌어진 총격사건을 피할 수 있었는데, 그는 처음에 예감이 안좋은 것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했지만, 나중에야 그걸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직관은 편의점에 있는 한 남자의 존재를 파악했는데, 그 남자는 크고 무거운 재킷을 입고 있었다. 더운 날씨에 재킷이라, 물론 그건 총을 숨기기 위한 것이었고, 본능을 믿은 그는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베커의 말이다. '직관을 믿으면 생명을 구할 수 있고, 그게 틀렸다 해도 손해볼 것은 없지 않는가?'라고.

우리는 늘 낯선 사람을 경계하지만, 실제 범죄의 대부분은 아는 사람으로부터 저질러진다. 늑대가 사람을 물어죽이기라도 하면 늑대 공포증이 전국을 휩쓸어 밖에 나가는 것조차 삼가지만, 대부분의 범죄는 집 안에서 일어나는 법이다. 전조가 없는 범죄는 없다. 살인이 일어나면 '그렇게 순하던 사람이...'라며 너스레를 떨지만, 살인의 신호들은 계속 있었고, 희생자는 그 신호를 무시한 거다. 우리가 우리 내부의 위험신호들에 좀더 귀를 기울인다면 혹시 닥칠지 모르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베커의 한결같은 주장이다.

범죄예방에 있어 최고의 전문가인 베커의 <범죄신호>는 이런 것 말고도 스토킹 등 다양한 범죄들을 예방하는 노하우를 기술해 놓고 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책이다. 특히 스토킹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여성들이라면 꼭 한번 읽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남자의 경우 일생동안 살아오면서 생명의 위협을 겪은 경험이 손으로 꼽을 정도지만, 여성들의 경우에는 상시적으로 위험을 느끼며 살아가니까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또니 2004-03-22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멋진강아지를 키우시는 님~~님의 글소감을 보니깐 저도 엄청 읽고 싶어지네요..갠적으로 형사에 엄청 관심이 많은데...앞으로 일(?)하는데 엄청 도움도 될것 같고 흥미진진해 질것도 같고요...님이 보신책중에 제가 본 책이 있으까 싶어 내려왔더니 여까지 왔네요..여적 못찾고는 있지만..아직도 희망은 있기에..그거 찾으면 뭐하나 하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뭐...그냥...헤헤...좋은책 멋진책 자주 자주 올려 주세요...요새 책을 좀 좋아하게 되어서 자주 볼 요량이니깐..요..하하하..그럼 좋은 하루 되셔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