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과 사상 28 - 이류 청산 이류 개혁
강준만.고종석.김진석 지음 / 개마고원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계간 <인물과 사상> 시리즈가 변신한 뒤 두번째로 나온 책이다. 강준만 교수가 대부분의 원고를 쓰던 시절에는 가끔씩 지겨운 느낌이 있긴 했지만 글의 수준이 어느정도 이상이 된 반면, 집필자가 다양해진 이번 책은 지루한 맛은 덜해도 가끔씩 맥이 빠지는 글이 있다는 게 아쉽긴 하다. 전반부를 읽을 때는 그래서 시큰둥했지만, 홍윤기.정혜신.강준만.고종석 등이 집필한 후반부는 어찌나 재미있던지, 새벽이 오는지도 모르게 책장을 넘겼다.

테러에 대해 고찰한 홍윤기님의 글은 오클라호마 연방청사 폭파범 맥베이가 내가 생각해왔던 것처럼 '한순간 돌아서' 테러를 저지른 게 아니라는 걸 깨닫게 해 줬다. 모든 테러는 이유가 있다. 그 이유를 우리가 납득하든 납득하지 못하든간에 말이다. <남자 vs 남자>라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던 정신과 의사 정혜신님은 한가지 주제로 거기 걸맞는 짝을 찾아내는 혜안을 갖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소통'을 가지고 정몽준과 이창동의 삶을 조명한다.

고종석님은 복거일이 최근 책으로 낸 친일파 변명문-죽은 자들을 위한 변호-의 비논리성과 허구성을 날카롭게 분석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보수를 자처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모순된 기반 위에 서 있는지를 설파한다. 한 나라의 존립에 있어서 자긍심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믿는 나는 많은 사람들이 이 글을 읽었으면 좋겠다. 많은 이들이 읽을 수 있다면, 허접한 논리로 친일파와 일제시대를 비호해놓은 복거일의 책에 '복거일을 다시 보게 한 명저'라느니' 한국인이면 놓쳐서는 안될 책'이라는 따위의 감상문을 올리는 사람이 줄어들 테니까 말이다.

언제나 나에게 깨우침을 주는 <인물과 사상> 시리즈, 내년 1월께 나올 29권을 기다느라 올 연말은 지루하게 보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