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페포포 투게더
심승현 지음 / 홍익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코끝이 찡- 해지는 흔치 않은 감성을 지닌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지나쳐버리기 쉬운 작은 것들..... 그저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는 나를 한번 돌아볼 수 있게 해주었다'
'왠지 내 눈물이 책에 닿으면 흘러내릴 것만 같은 그림에 심장을 콕 찌르는 글'

오랫동안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키고 있는 책답게, 알라딘에 올라온 서평들도 거의 찬사 일색이다. 많이 팔리는 책을 읽는 것도 사회를 아는 한 방법이 되는지라, 그다지 내키지는 않았지만 1, 2권을 사서 읽었다. 두권을 읽는 데 걸린 시간은 두시간 남짓, 전혀 감동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겨우 그정도의 감동을 위해 15000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하는 회의가 든다. <연탄길>을 읽었을 때도 그랬지만, 이런 류의 책을 읽고 나면 허탈하기 짝이 없다. 그래서 뭐 어쩌라고, 하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감동이 메마른 사회라서 이렇게라도 감동을 받아야 하는 걸까? 그 감동은 어떤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다들 감동적이라는데 나 혼자 이렇게 투덜대는 걸 보면, 내가 너무 무디거나, 삐딱한 성격일 것이다. 나이답지 않게 보수적이라, '책은 모름지기 두꺼워야 한다'는 고루한 생각에 빠진 탓일지도 모른다. 아무리 그래도 이게 외환위기 당시 우리 사회에 유행했던 [101가지 이야기] 시리즈와 틀린 게 뭐람? 그 시리즈는 두껍기라도 했지... 책을 읽는 목적이야 저마다 다르겠지만, 그림이 많고 빨리 읽을 수 있는 얇은 책들이 점점 더 판매시장을 장악하는 현상은, 그나마 안팔리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다.

저자는 2권이 1권의 성공으로 급조한 책이 아니며, 원래 기획되어 있던 책이라고 하지만, 2권을 먼저 읽은, 그래서 좀더 객관적일 수 있는 내가 보기에 2권은 1권이 주는 감동조차 주지 못하고 있다. 날더러 '신세대의 감수성을 모른다'고 비난한다 하더라도, 최소한 마지막 말에는 동의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