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박민규라는 사람이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란 책으로 한겨레 문학상을 받았다는 기사를 읽고 '기인이 한명 탄생했구나'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그가 <지구영웅 전설>을 냈을 때 곧바로 사서 읽었지만, 읽고 난 뒤의 느낌은 실망 그 자체였다. 발상의 신선함을 소설적으로 승화시키지 못했다는 느낌이랄까. 이 책을 살 때 여러번의 망설임을 거친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에 대한 모든 우려를 불식시켜 줬고, 난 박민규를 '책을 낼 때마다 무조건 사는 작가'의 리스트에 등재했다. 쉼표를 정신없이 사용하며 사람을 웃기는 성석제와는 달리, 박민규는 '.....했다. 고는 하지만, 실제로는....회복될 조짐이 보이지 않았다. 고도 하지만....'이라는 문장으로 날 웃겼는데, 난 지하철 안이라는 것도 잊은 채 폭소를 터뜨려야 했다. 그 바람에 승객들로부터 혹시 어떻게 된 게 아니냐는 시선을 받기도 했지만, 웃을 일이 별로 없는 우리 사회에서 며칠간을 헤헤 웃으면서 지낼 수 있게 해준 작가에게 감사드린다.

이 책은 결코 야구 얘기가 아닌, 야구를 빙자한 인생 얘기지만, 나처럼 프로야구를 좋아했고, 삼미 슈퍼스타즈에 대한 추억을 가지고 있다면 훨씬 더 재미있을 것 같다. '칠 수 없는 공은 치지 않고, 잡을 수 없는 공은 잡지 않는'다는 삼미 슈퍼스타식의 야구, 이 책을 읽으면서 난 훌륭한 연구자로서의 꿈을 진작에 접어버리고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있는 나 자신을 위로받을 수 있었다. '그저 달리기만 하기에는 우리의 삶은 너무나 아름다운 것이다(278쪽)'이란 말에 적극 공감한 것은, 나 역시 삼미 슈퍼스타와 같은 인생을 살아가고 있어서이리라.

하지만 책을 덮고난 뒤 내 주위를 살펴보니 모두들 앞으로 달려나가느라 정신이 없고, 경쟁에서 뒤쳐진 내 모습은 초라하기만 하다. 작가가 찬양해 마지않는 삼미식의 야구가 제대로 된 평가를 받기엔 우리가 너무 멀리 온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