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을 만든 사람들
현경병 지음 / 무한 / 2015년 6월
평점 :
유럽을 만든 사람들은
누구일까?
우선 궁금한 게
있다,
<유럽을
만든 사람들>이란
책을 누가 만들었을까?
이렇게 방대한 책을 어느 개인
한사람이 만들었을까?
그 깊이와 넓이가 한마디로 대단하다
말할 수밖에 없는 이 책을 누가 만들었을까?
더군다나.
머리글에
보니 워낙 방대한 내용이라 1권에
다 담지 못하고 2권으로
펴내게 되었다니,
전체를
합한다면 그 방대한 양에 다시 한번 놀랄 수밖에.
그래서 저자의 약력을
훑어보니,
그런
책을 쓰고도 남을만한 저력이 보인다.
(자세한
약력은 책 표지,
또는
인터넷 서점의 해당 자료를 참고하시기를.)
이 책의 접근 방법
그런데 그런 것뿐만
아니라,
이
책의 접근방법이 무엇보다도 마음에 든다.
바로
저자가 이 책의 특징이라 말한 ‘역사와
인물전의 결합’(7쪽)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역사서는 사건을 중심으로 하되 인물은 대개 사건에 관련하여서만 기록해 놓고 있는데,
이
책은 그 양자를 다 결합해 놓았으니,
역사를
훨씬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역사를 시대 순으로 정리하는
한편
그 사건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온
인물들을 설명하고,
그들을 둘러 싼 시대적 배경과
사건의 원인 및 이후의 전반적인 상황까지,
다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7쪽)
내용의 넓이와 깊이
이 책의 내용이 얼마나
방대한지,
그
실례로 훈족의 아틸라 대왕의 이야기를 들 수 있다.
게르만족의 대이동이란 전대미문의
사건이 시작되면서,
유럽은
재편되기 시작하였다.
게르만
족의 대이동의 원인이 된 훈족의 유럽진출에 대한 기록이 166쪽
이하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 훈족의 아틸라 대왕이
등장한다.
그
내용을 상세히 말할 필요는 없고,
이
책의 넓이를 말하는데,
아틸라의
위대한 족적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보통의 역사서도 아틸라와 연결하여 ‘니벨룽의
노래’
정도는
언급할 것이다.
그러나
그 언급하는 내용을 보면 그저 그런 노래가 있었다 정도이지,
이
책처럼 상세하지는 않다.
저자는 아틸라와 관련하여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아틸라의 위대한 족적은 지금도
메아리를 울리고 있다.
중세
유럽 문학을 대표하는 <니벨룽의
노래>와
바그너가 작곡한 <니벨룽의
반지>가
그의 일대기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반지의
제왕>으로
이어지며 소설과 영화로 변함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181쪽)
그렇게 설명한
후에,
각각의
작품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내가
이 책을 방대하다,
넓다고
평가한 소이가 바로 이런 데 있는 것이다.
그러니,
다루고
있는 주제와 관련하여 저자는 관련사항들을 넓고도 깊게 독자들에게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읽을 거리들
<쿠쉬나메,
신라
공주와 페르시아 왕자의 사랑이야기>(158쪽)는
처음 들어본 것이다.
이런
이야기가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이야기가 우리나라에서 무용서사극 ‘그
사람 쿠쉬’를
통해 소개되었다는 것을 안 것만 해도,
이
책은 가치가 있다.
유럽을 이해하기 위한 각종 자료들
이 책은 다만 그렇게 내용을 넓고
깊게 소개한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유럽을
한 눈으로 보아 알 수 있도록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자료들이 입체적으로 등장한다.
그 자료들이란 각종 지도는
물론이고,
저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 해 놓은 도표들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부록에는
<유럽의
4대
지역권 및 3대
민족권>,
<주요
국가별 대표적인 지방과 도시>
도
소개하여 놓았으며,
더하여
<유럽의
건축 양식과 대표 건축물>
및
<인명과
지명>도
첨부하여 유럽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방향으로,
유럽을
넓고 깊게 들여다 보는 책은 드물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