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불타는 반도 1~5 세트 - 전5권
윤규창 지음 / 밥북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역사를 이렇게도 공부할 수 있다

 

이 책의 특이점

 

저자는 누구인가?

 

현재 구미에서 영어 학원 원장인 저자 윤규창은 "코끼리 쌤" 으로 불린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언어(러시아어)를 전공한 교사가 지은 것이다.

 

이 책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쓴 책이다.

 

그러니 이런 궁금증이 든다. 왜 학원 원장이 이런 역사 소설을 썼을까?

자라나는 신세대들에게 우리 역사를 바로 알게 하려는 목적으로 쓴 역사 소설이다. 학교에서 배우는 단편적인 역사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을 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저자는 소설 형식을 빌려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만큼 교과서적인 전개를 넘어서서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여러 장치를 해 놓고 있다.

 

소설적 장치, 이야기를 맛있게 만들다

 

이야기의 전개와 서술 방식

 

이 소설의 주제가 되는 이야기는 실제 역사적 사건들이다. 임오군란, 동학 혁명, 명성황후 시해 사건들.

 

저자는 그런 이야기를 끌어가면서 줄거리의 전개를 날짜별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역사적 사실에 기대어 소설가가 창조한 인물을 역사적 사건에 진입시키는 방법이다. 그래서 주인공들은 역사적 사건의 방관자로서가 아니라, 직접 뛰어 들어가 체험하고 같이 일들을 겪어가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글이 더 사실적으로 여겨진다. 그러니 주인공에 감정이입이 되는 독자라면, 마치 역사적 사건의 한 복판에 들어서서 몸소 그 사건을 겪고 있는 듯 느껴질 것이다.

 

새로운 캐릭터의 창조

 

저자는 이 소설에서 비단 사람들만 주인공으로 역할하도록 하는게 아니라, 개를 등장시킨다.

그런데 그 개에게 부여한 재능이 특이하다, 그 개 - 진스칸- 는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글을 읽을 줄 알며, 또한 육체적 능력도 탁월하다. 지구력은 물론이고, 태견과 유도를 응용한 기술도 습득하게 된다. 어디 그 뿐인가? 연장도 사용한다. 그러니까 동물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 재능을 가진 개 진스칸은 이 소설에서 아주 유용하게, 즉 이야기에 재미와 호기심을 자아내고, 사람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의 활약도 볼만하게 펼치고 있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자료 제시

 

<1894년에 비단 한 필은 쌀 한 가마와 바꿀 정도로 비싼 것이었습니다.>(1126)

 

동학 농민군과 정규 군사들 사이에 벌어진 전투에서 실제 사망, 부상자 수 까지도 자세히 서술하였다. 또한 전투 장면에서 사실감을 부여하여 전투장면을 자세하게 그려놓고 있다.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 4천명도 피해가 심각했습니다. 사망자가 50명 부상자가 180명이나 되었고 이 방언이 이끄는 농민부대에서는 사망자가 90명 부상자가 280명이 되었습니다.> (1132)

 

줄거리 한번 살펴보자

 

구 한말, 이야기는 임오군란에서 시작된다. 역사 교과서에서 임오군란 이란 항목에서 배운 내용들이 주인공 이장식의 입장에서 벌어지기 시작한다. 그렇게 임오군란으로 시작한 이 소설은 동학혁명으로 이야기를 옮겨간다. 그 후 명성황후 시해 사건도 등장하고,

이러한 사건의 와중에서 주인공 이장식은 결국 전사하고, 그 뒤로 이어지는 이야기에서는 그의 딸인 서희가 진스칸과의 재회, 그리고 이장식의 제사에 가족이 모이고, 그렇게 소설은 끝이 난다.

 

이 소설의 가치

 

이렇게 구한말의 주요 사건들이 이 소설에 소재가 되는데, 이를 - 앞서 말했지만 - 일자를 제시하면서 기록하고 있으니 마치 넌픽션같은 기록성이 느껴지기도 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그래서 이 소설을 읽으면서 역사 넌픽션 같은 프로그램을 보는 듯한 느낌도 들었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역사 교과서에서 몇 줄로 설명이 되는 사건들을 드라마처럼 연결된 구체적인 장면 장면들로 바꾸어 볼 수 있게 되어, 역사적 사건들을 구체적으로 사실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니 이야기를 읽어 내려가며 역사의 앞 뒤를 꿸 수 있는 이점도 있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