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 이기원 디스토피아 트릴로지
이기원 지음 / 마인드마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사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이 책의 배경부터 살펴보자.

 

저자는 이 책의 배경을 주인공 우종이 출근길에 듣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종이 듣게 되는 <저스티스의 역사>는 실은 저자가 독자들에게 소설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29-35)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세계가 멸망한 미래의 시점이다. 전국기업인연합의 약칭인 전기련이 도시국가를 세웠다.

뉴소울시티’ (New Soul City)

연호는 아바리치아.

이 도시국가에서는 AI판사 저스티스-44’가 판결을 한다.

AI판사인 저스티스 - 44와 혁신적 치안 서비스를 통해 범죄율 제로의 태평성대를 만들어낸다.

 

이게 바로 이 소설의 시대배경이다.

우리가 상상하는 AI가 이제 인간 대신 판사가 되어 판결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그런 시대와 상황을 배경으로, 그런 사회에 필요한 각종 신문물이 등장한다.

그런 것들도 알아두어야 이 소설의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다.

 

개인용 인공지능 고스트, 고스트를 개인용으로 휴대하도록 한 매치

각성제인 에멘탈.

 

등장인물이 서서히 한 명 한 명 나타난다.

 

등장 인물들을 정리하면서 인물들 간의 관계도 잘 파악해야 한다.

 

강우종 : 고객 서비스 팀 남부 현장 출장소 픽서 (77)

최준수 : 7구역 의료센터 담당의

희도 : 전기련 홍보팀의 메인 작가

창도 : 희도의 동생

오영무 : 전기련 산하 감사본부 모니터 팀 대리 (68, 77)

도세웅 : 영무의 직속 상관, 모니터 2팀 과장 (161)

박도경 : 아레스 박진형 총수의 아들, 바이오메딕의 대표이사 (90)

길재민 : 전기련 홍보팀 소속 사회부 기자 (135)

서용주 : 35, 데메테르 제품 개발팀 팀장 (129)

유경철 : 퍼플린 크루의 리더 (131)

 

이 책의 제목 <사사기>는 어떤 의미일까?


사사라는 말은 기독교 성경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판관을 말한다.

Judge를 말한다, 우리말로 때로는 판관(判官) 또는 사사(士師)라고 한다.

 

모든 판결을 담당하는 인공지능 저스티스 44’가 있는데, 우연인지는 몰라도 44라는 일련번호는 사사라는 단어로도 표기가 가능하다는 데에서 이 책의 제목을 사사기라 한 것이다. (35)

 

이 책에서는 그 사사라는 이름에 더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저스티스-44라는 이름은 광야에서의 고난을 끝낸 고대 이스라엘 민족을 다스리던 사사기의 사사들처럼 대한민국이라는 죄악의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희망을 짊어진 존재라는 의미와 맞아 떨어졌다. (35)

 

그러면, 문제는 이것이다.

과연 그 사사, 저스티스 44는 완벽한 것일까?

 

그게 이 소설의 주제가 된다.

등장인물들, 그들에게 어떤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그들은 저스티스의 판결에 의구심을 갖게 되는 사건을 만난다.

저스티스 44의 완벽한 활동 하에 완벽해야 할 이 도시국가에서 기계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들이 발생한다.

그들이 만난 사건은 위 인물중 박도경의 죽음이다.

그냥 지나치려는데, 그 사건의 희생자인 박도경에 관한 이상한 점이 드러난다.

바로 신원을 밝히지 말라는 것이다.

 

그 사건을 밝히기 위해 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여드는데,

이 사고 뒤에 숨은 어떤 것, 그것을 밝히고자 시작한 것이 점점 판이 커지면서 결국은 절대권력인 전기련의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이런 곡 들으면서 이 책 읽자, 음악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28)

 

척 맨지오니 플루겔혼 연주 <Feel so good>(167)

 

다시, 이 책은?

 

이기원 디스토피아 트릴로지(trilogy)

이 책은 이기원 작가가 만들어내고 있는 디스토피아 3부작의 두 번째 작품이다.

 

첫 번째 쥐독과 두 번째 사사기는 출간이 되었고,

세 번째 리사이클러이건, 아직 미출간이다.

세 권 모두 까마득한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쥐독2155, 사사기2097, 그리고 리사이클러2120년인데

이번에 출간된 사사기쥐독의 앞선 시기를 다룬 프리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쥐독의 앞선 시기를 다룬 프리퀄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두 권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지향하는 유토피아를 찾아가는 여정이므로.

 

이 책에서 그런 흔적이 보인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빅데이터를 축적한 지혜의 총아라고 해도, 인간만의 감각인 촉과 데자뷰를 이해할 수 있을까? 그 감각을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할 순 없다. 인간의 촉 역시 경험이라는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된 일종의 값이다. (192)

 

인간을 정의롭게 하는 도구란 없어요. 인간 스스로가 정의로워져야 하죠. (311)


과연 유토피아는 우리 인간들이 찾아낼 수 있을까, 아니면 일껏 만들었다고 생각한 그곳이 오히려 디스토피아가 되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그런 질문을 던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