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조선시대에서 가장 큰 힘을 가진 왕그들의 행적을 리더십이라는 도구로 읽어본다.

그러니 이 역시 역사책이다.

역사책이긴 하나 보는 시각이 다른그래서 역사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다.

 

이 책은 조선 시대 27명의 왕중 9명을 다루고 있다.

누구 누구일까?

태조태종세종세조성종선조광해군영조정조그렇게 9명이다.

 

그들이 왕이 되기 전부터 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왕이 된 후의 정치 역정들 그런 과정에 리더십이란 도구를 들이대어 그들의 치세를 평가한다.

 

우선 저자가 각각의 왕을 어떻게 한 줄로 평가하는지 살펴보자,

 

태조 이성계 대업을 이뤘으나 불행했던 왕태조 이성계

태종 악역을 두려워하지 않은 강인한 책임감의 소유자태종

세종 역사상 가장 뛰어났던 천재 리더세종

세조 강인하고 무자비한 리더십세조

성종 열심히 일하고 신나게 놀다성종

선조 유능과 무능함의 경계선선조

광해군 뛰어났으나 때를 잘못 만나다광해군

영조 절반의 성공절반의 실패영조

정조 누구보다 백성을 사랑한 왕정조

 

이중 몇은 반면교사로 교훈을 주는 역할로 등장한다,

세조선조광해군이 바로 그런 역할을 맡는다.

 

그들에 대한 평가

 

태종을 평가함에 있어, (63)

왕이 되기 전에는 포악하고 잔인함으로부정적인 평가가 많지만

왕이 된 후에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가 방향을 잡고 중앙 집권정치로 올바로 순항할 수 있도록 큰 틀을 잡은 공이 있다.

 

태종의 사람을 보는 눈 (83)

장자인 양녕대군이 아닌 셋째 충녕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준 태종의 안목이 역사의 큰 틀을 바꿔놓았다.

 

새롭게 알게 된 것들이 많다.

 

셰익스피어 휴가를 먼저 시작한 세종 (96)

영국에서는 빅토리아 여왕 때에 고위관료들에게 3년에 한 번씩 한 달 휴가를 주어 독서를 하게 한 제도가 있었는데조선에서 세종이 이런 제도를 먼저 시행했다. 바로 사가독서제다.

 

이런 글밑줄 긋고 새겨둔다.

 

정도전이 조선을 설계했다면 그 위에 색을 입히고 건축한 사람은 태종 이방원이다. (59)

 

사대 문제에 관하여 :

세종 역시 중국에 대한 사대를 하긴 했지만그 목적이 달랐다.

사대를 했지만 사대에 갇히지 않고 자주적 활동으로 민족의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많은 업적을 남겼다한글도 그 중의 하나다.

 

이애 대하여 저자는 이런 말로 결론을 맺는다.

 

오늘날도 마찬가지다친미반미친중반중을 외치기보다 쓸 용(자를 써서 용미용중을 생각해야 할 때다. (101)

 

이런 비교도 돋보인다 : 태종 이방원과 세조

 

태종 공신들과 권력을 나누지 않고 왕권을 강화하여 국가를 안정적인 반석위에 새웠다.

세조 정권의 안정을 위해 공신들의 부정과 부패를 묵인하고 수많은 인재들을 소멸시켰다.

 

또한 왕들의 행적에 만약이라는 설정을 집어 넣어각각의 경우 대체 역사도 생각해본다.

 

예컨대이런 것들이다.

세종의 아들인 문종그는 왕위에 오른지 2년 4개월만에 39세의 나이로 죽는데아버지의 총명함을 그대로 물려받은 문종이 조금만 더 오래 살았더라면 어땠을까?

 

이런 질문은 그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문종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문종은 세종의 후반부 성과 중에 문종과 함께한 치적들이 많다훈민정음 창제도 부자가 함께한 작품으로 보인다. (113)

 

가장 아쉬웠던 임금정조

 

저자가 9명의 임금 중 세종과 정조에 대한 평가는 극진하다.

그들의 리더십이 조선을 그래도 전성기로 이끌어갔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그들 역시 한계는 있었다.

 

그래서 이런 발언이 나온다.

 

세종이 15세기 조선의 최고 전성기를 이끌었다면정조는 조선 후기 르네상스를 이끈 군주라 볼 수 있다아쉬운 것은 조선의 전성기가 계속 이어가지 못하고 쇠한 것이다. (349)

 

다시이 책은?

 

우리 역사상 조선은 518년 동안 유지된 나라다.

같은 시기에 존재했던 중국의 명나라는 300년도 못되어 무너졌다.

그런 점을 감안하여 저자는 조선이 그렇게 오래 유지된 이유를 균형이라는 차원에서 파악하고 있다. (5)

 

어떻게 그런 균형이 가능했을까?

저자는 임금과 신하의 관계에서 균형을 찾아보고 있는데바로 임금의 리더십이 그런 균형을 가능하게 한 것이라 본다해서 훌륭하게 리더십을 행사한 임금은 국정을 균형있게 이끌어나간 반면에 리더십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 임금은 국정을 파탄으로 몰고갔다는 것이다.

그러한 교훈은 비단 조선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리라. 역사는 그점,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