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 동굴 신화와 열 가지 에피소드 지양청소년 과학.인문 시리즈 3
에티엔 가르셍 지음, A. 단 그림, 이성엽 옮김, 허경 감수 / 지양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동굴 신화와 열 가지 에피소드

 

철학이 그림으로 보여진다.

철학동굴 신화와 열 가지 에피소드이 책에서 독자들은 철학을 눈으로 볼 수 있다.

 

동굴 신화는 플라톤의 저서 국가에 나오는 에피소드다.

그것을 포함하여 열 가지가 어떤 것인가 하면 다음과 같다.

 

1. 플라톤의 동굴재현된 세상에 대한 갈증 ·

2. 테세우스의 배끝없이 위협당하는 동일한 정체성 ·

3. 엠페도클레스의 신발행복한 죽음의 가능성

4. 탈레스의 우물사회참여를 하지 않는 철학자

5. 아우구스티누스의 배 서리악의 의지

6. 파스칼의 갈대양심의 힘 ·

7. 니체의 외줄 타기 곡예사어떻게 자신의 삶을 만드는가

8. 라프카디오의 행동불가능한 자유로운 행동

9. 사르트르의 웨이터자신 만들어내기

10. 들뢰즈의 진드기다수의 세계

 

동굴 신화는 아는 것이니 소개할 필요 없을 것 같고 두 번째 이야기인 테세우스의 배를 살펴보자.

 

여기서 '테세우스의 배'라 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건으로크레테 섬에서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처치하고 돌아올 때 탔던 배를 말한다.

 

이 배를 아테네 사람들이 수백년 동안이나 보수하면서 보존해 오고 있었는데이 배에서 철학의 소재를 찾아낸다는 게 재미있지 않은가?

그 배를 보수하면서 벌레먹은 널빤지를 새것으로 갈고또 다른 부분의 목재도 갈아 끼웠다면과연 그 배가 테세우스의 배인가 아니면 다른 배인가하는 논쟁이다.

 

이런 논쟁에 대하여 저자는 다음과 같은 철학자를 소환하여 이론을 펼치게 한다.

 

헤라클레이토스,

토마스 홉스

존 로크  『왕자와 구두 수선공

라이프니츠

오스카 와일드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랭보 시 <취한 배>

 

이렇게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많은 철학자를 소환하여 논쟁의 장을 펼치고 있으니독자들은 어느새 그 주제를 가지고 깊고 넓은 지적 여행을 하게 된다는 게이 책의 장점 첫 번째이다.

 

또한 그런 설명을 하는 가운데 이런 이야기도 듣게 된다.

소크라테스 덕분에 소피스트들을 야바위꾼으로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도 알게 된다.

자세히 읽어 보면이런 설명도 납득이 된다그게 이 책의 두 번째 특징이다.

 

어떤 의미에서 소피스트들은 과학적 사고의 조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신화에서 벗어나사실에 합리적으로 접근하려고 했던 최초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2-1)

 


 

세 번째 특징은이 책이 만화이기 때문에 모든 설명이 그림으로 뒷받침되기에설명을 읽는 순간에 바로 이미지로 머릿속에 기억으로 남게 되니 좋다.

 

네 번째 특징은 철학의 주제와 연결되는 이야기들이 한결같이 식상한 내용이 아니라, 신선하다는 점이다생각의 허를 찌르는 의외의 연결로 이어지니독자들의 인식의 폭이 넓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런 연결생각해 본 적 있을까?

 

탈레스의 우물과 화가 렘브란트 (4-9)

현상학과 카뮈의 이방인』 (9-1)

사르트르와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9-10)

 


 


 

다시이 책은?

 

이 책의 세 번째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의 죽음에 관한 것이다.

그는 에트나 화산 분화구 속으로 뛰어들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는데이 사건을 두고 철학자들의 다양한 추론이 이어진다.

그의 죽음에 대한 여러 철학자들의 해석을 들어보자.

 

()플리니우스 (3-6)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시인 휠덜린

쇼펜하우어

니체

비슐라르

들뢰즈

 

그렇게 신나는 지적 여행을 하게 된다.

하나의 주제에서 어쩌면 그리 많은 이야기들이 줄줄 이어져 나오는지저자의 입담이 좋기도 하다그 해박한 지식에 놀랄 수밖에 없다.

 

특별히이 책의 일곱번째 이야기인 <니체의 외줄타기 곡예사>은 온전히 니체를 위한 장이다.

니체의 주요 저서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주요부분을 만화로 읽는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다른 장처럼다른 철학자의 출연 없이 오로지 니체만 등장하는 한 편의 강연록이다.

 

이 책그렇게 철학이 어렵지 않게, 철학을 친근하게 접근하게 만들어주니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