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세계 - 지금 여기, 인류 문명의 10년 생존 전략을 말하다
안희경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의 세계

 

이 책은 저자인 안희경이 세계석학 7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저자가 이런 사람들을 인터뷰한 목적이 있다 

 

우리 문명이 지금 어디에 있는가?

벼랑 끝인지아니면 이미 추락을 시작했는지 안녕과 번영의 시간을 가늠하고자 했다.

정치경제사회환경그리고 삶의 결을 이루는 문화 의제에 관해 세계 석학들과 인터뷰 함으로써 인류 문명의 생존을 위한 전략을 논하고자 한다.

7명의 지성에게 우리 앞에 놓인 미래의 선택지를 해석해달라고 했다.

그리고 탐지한 위험을 말해달라고 요청했다. (9)

 

그러한 인터뷰에서 7명의 석학은 현재를 진단하고 앞으로 우리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선 7명의 석학과 그들의 의견을 요약해 본다.

재러드 다이아몬드지구가 안전하지 않은데 인류가 안전할 수 있는가·

케이트 레이워스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경제 혁신은 무엇인가

다니엘 코엔불평등은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시대를 잠식하는 성장 서사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대니얼 마코비츠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재생산하는가

조한혜정한국 사회는 지금 무엇을 논의해야 하는가

사티시 쿠마르우리는 어떻게 위기의 시대를 살아갈 수 있는가

 

재러드 다이아몬드지구가 안전하지 않은데 인류가 안전할 수 있는가·

 

가장 먼저 풀어야 할 위기는 없다전력을 다해 동시에 풀어야 할 주요한 위기들이 있을뿐이다. (29)

 

그가 말하는 풀어야 할 주요한 위기는 무엇일까?

핵무기 위협기후변화 위기자원 고갈 문제불평등. (41)

 

뉴 노멀 시대에 어떤 게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잡을까?

글로벌 문제에 대한 글로벌 해법의 중요성.

지역적인 대비의 중요성. (48)

 

케이트 레이워스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경제 혁신은 무엇인가

 

도넛 경제학』에는  

환경과 경제가 충돌하지 않고 나아갈 방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60)

 

순환전략 새로운 원자재 소비를 줄이고 기존 자원을 다시 쓰고 수명이 다한 제품은 재활용해서 쓸모를 살려내는 전략이다. (58)

 

지금 발생하는 위기들은 인간이 만들어놓은 시스템의 결과다.

기후를 망가트렸고,

바다를 산성화시켰고,

오존층에 구멍을 냈다.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중대한 손실을 입혔다.

화학 오염,

질소와 인 축적,

담수 고갈,

토지 개간

이러한 것들을 더 이상 압박하지 않도록 지구를 안정적으로 지켜내야 한다. (61)

 

다니엘 코엔: 불평등은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현재의 위기는 대면으로 조직된 서비스 경제의 위기다. (86)

 

탄소 배출에 대하여 :

우리는 세계의 어느 한구석에서 다른 한구석으로 원료를 가져가 조립하고 또 다른 구석으로 가져가 완성합니다엄청난 탄소를 배출합니다. (89)

 

너무 많은 물건이 너무 먼 곳에서 오고 있다차량 부품 같은 필수품이 먼 곳에서 온다는 것은 약점이다겨울에 굳이 지구 저편에서 체리를 가져와 슈퍼마켓에서 팔 필요는 없다. (90)

 

오늘날의 자본주의는?

위험요소를 감수하지 않는 자본주의다위험은 고스란히 일하는 사람에게 떠념겨진다. (95)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시대를 잠식하는 성장 서사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오래된 미래』의 저자. 

 

수입하고 수출하는 물류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지그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생수쇠고기오렌지가 지구를 가로질러 오간다.

옥수수가 지구를 가로지르며 가공된다생산지에서 바다를 건너가 포장되어 다시 건너온다에너지 발자국을 줄여야 하는 이 시기에 완벽하게 정신 나간 짓이다. (116)

 

데이비드 리카르도 비교 우위를 갖는 물품에 집중해야 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귀리가 잘 되니까 오로지 귀리를 길러 수출하자그렇게 번 돈으로 나머지 필수품을 싸게 수입해서 모두를 이롭게 하자는 것이다. (118)

 

그결과 비교우위에 있는 물품을 비롯하여, 무역물품들이 오고가는 것이 얼마나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지, 그래서 기후 위기를 초래했다는 것을 리카르도는 지하에서라도 알고 있을까?  

 

대니얼 마코비츠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재생산하는가

 

불평등의 문제의 핵심은 오직 엘리트에게만 유리한 쪽으로 사회가 조작하고 있는 현상에 있다능력대로 공정하게 보상받는다는 능력주의가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143)

 

엘리트에 진입했다 하더라도 엘리트에 머물려면 경쟁 속에서 모든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덫에 빠진 거죠나머지는 배제하고 부자는 함정에 빠뜨리는 덫입니다이 덫에서 정말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그리고 아무도 탈출하려 하지 않습니다그 점이 바로 덫함정이라는 겁니다. (164)

 

조한혜정: 한국 사회는 지금 무엇을 논의해야 하는가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라고 하기 전에 분리수거가 안 되는 포장을 못하게 하는 것이 국가의 역할이다. (178)

 

재난 유토피아 :

재난이 닥치자 자율적으로 함께 살길을 마련하는데 전에 없던 평화와 평등이 그 연대 속에서 펼쳐진다.

소중한 관계를 만들어 서로 연결되는 안전망을 이루는 것이 관건이다. (199)

 

사티시 쿠마르우리는 어떻게 위기의 시대를 살아갈 수 있는가

 

우리에게는 지구환경을 낭비하는 경제 시스템을 새로이 재편하는 모색이 필요하다왜 서구사상은 숲을 함부로 대하는가? (206)

 

우리는 인공지능을 사용하지 않고 인공지능을 만들고 있습니다저는 인공지능을 전적으로 반대합니다인공지능은 이 행성에 더 많은 파괴를 불러올 것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지구에 만족하며 행복하게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221)

 

르네상스인은?

한 가지만 공부하지 않습니다인간은 다양한 재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재능을 개발할 수 있으니까 단 하나의 재능에 집중해서 전문가가 되지 않는 것이다. 하나만 전문으로 하는 삶은 충족감을 주지 못한다왜냐하면 우리는 여러면에서 상당한 수준의 자질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222)

 

이런 것들 모르고 있었다.

 

겨울 전쟁 : 1939년 소련은 핀란드를 침략했다그 결과는?

49쪽을 참조하시라.

핀란드인들은 소련과 혹독한 전쟁을 치르면서 모든 것어떤 것이라도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모든 백신은 공공기금을 지원받았다모더나화이자를 포함해서 모두 그렇다특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더 전폭적인 공공기금으로 개발됐다. (70) 

 

부자들은 아주 부자가 되더라도 더 행복해지지 않는다. 1년에 100만 달러 소득이 있는 미국 가정의 경우수입이 증가한다 해도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왜냐면 일단 1년에 100만 달러를 벌면 필요한 모든 것을 사고 별로 필요없는 것도 많이 살 수 있기 때문이다. (156)

 

다시이 책은?

 

이런 사람들을 몰랐다.

이런 사실들을 몰랐다.

이런 사건들을 몰랐다.

이 책을 펼치고 몇 페이지를 읽고 나서깨달은 게 그거다.

이 책엔 내가 모르는 것투성이다해서 읽을 가치가 있다.

 

현재 코로나로 인해 미래가 불투명한 시점에석학들이 보여주는 미래는 설령 그러한 예상이 빗나간다 하더라도 들어볼 가치는 있다.

특히 탄소 중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성그러한 것은 확실히 알아두어야 한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적어둔다.

 

가난한 미국인들이 안전할 때까지 부자 미국인들이 안전하지 않을 것이며몽골이 안전하고 볼리비아가 안전할 때까지 결코 미국은 안전할 수 없다. (10)

 

가난으로 절망하는 미국인들이 많이 있는한 자신들이 또한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전보다 많은 부자들이 깨닫고 있다기꺼이 세금을 더 내려 한다. (45)

 

재러드 다이어몬드의 발언이다. 

미국 이야기라고 하지만이건 어느 나라나 다 마찬가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