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문학의 기본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이 책은?

 

이 책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문학론이다.

 

여기서 시학(詩學)’에서의 란 지금의 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비극희극서사시서정시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저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B.C. 384~322에 살았던 사람이다.

<그는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그가 다룬 분야들은 논리학형이상학인식론심리학윤리학정치학수사학미학동물학식물학자연학철학사정치사 등으로 아주 폭이 넓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 이 책 시학을 비롯하여 니코마코스 윤리학형이상학자연학정치학범주론명제론수사학』 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금도살아있다!

 

드라마 구성과 전개플롯 구성의 방법이 담겨 있는 이 책은 2천여 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다해서 책놀라움의 해부(베라 토빈)에서 다음과 같이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난다.

 

도로시 세이어즈 -  탐정소설가 는 1935년 한 강연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비극의 풀롯 구성 원칙중 다수가 자신이 주로 쓰는 장르인 탐정소설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제대로 된 비극이라면 사건들이 점점 더 복잡하게 중첩되어야 하며예측 가능하지 않아야 하지만 그렇다고 뒤죽박죽이어서도 안 된다고 말한다.

사건들이 예기치 않게그러나 인과관계에 따라일어나고(1452a 2-4), 급전에서 절정을 이루며이상적으로라면 이와 동시에 무지에서 앎으로의 이행이 일어나고그에 이어지는 설명에 의해 앞에서 얽혔던 문제가 모두 풀리거나 소멸되면서 종결되어야 그 비극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219)

 

위의 책에 언급된 시학』 (1452a 2-4)는 어떤 내용일까?

 

시인은 완결된 사건 뿐 아니라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사건도 모방한다그러한 행위가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인과관계로 인해 일어난다면그 효과는 극대화된다.(이 책, 38)

 

비극은 완결된 행동의 모방일 뿐 아니라 공포와 연민의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사건의 모방이다이런 사건들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상호간의 인과관계에서 일어날 때 최대의 효과를 거둔다. (시학천병희 역, 374)

 

이렇게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비극의 플롯 구성 원칙>이 지금도 적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시학』 은 그래서 극작을 하는 작가들에게 지금도 영감과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그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시학몇가지 정리해 본다.

 

플롯  

가장 훌륭하다는 평을 받는 플롯은?

오디세이아

이중적 플롯을 전개해 나가다가고귀한 인물과 악한 인물이 서로 정반대의 결말을 맞는다. (49)

 

연민과 공포

 

연민은 사람이 부당하게 대접받는 모습을 볼 때 생기는 감정.

공포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과 관련이 있다. (46)

 

미덕과 정의가 남달리 뛰어나지는 않지만악덕이나 악행이 아니라어떤 실수나 결함 때문에 불행해진 사람이어야 한다.

훌륭한 플롯은 결말이 단일해야지이중적이어서는 안 된다. (47)

 

가장 훌륭한 비극은 플롯이 단순하지 않고 복합적이어야 하고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행위나 사건이 있어야 한다(이것이 비극이라는 모방의 고유한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귀한 사람이 행복했다가 불행해지는 것을 보여주어서는 안 된다그런 일은 공포나 연민이 아니라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악인이 불행을 겪다가 행복해지는 것을 보여주어서도 안 된다그런 것은 비극적인 것과는 가장 거리가 멀고비극의 효과를 조금도 낼 수 없기 때문이다사람들이 수긍할 수도 없고연민이나 공포도 느끼지 못한다. (45)

 

성격 ;

성격 -  선함적합성유사성일관성

 

반전 :

상황이 앞에서 일어난 것과 정반대로 변하는 것이다. (40)

이것도 개연성이나 필연성에 따라 일어나야 한다.

오이디푸스 왕의 경우코린토에서 사자가 와서 오이디푸스를 기쁘게 해주고어머니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하려 했지만정작 오이디푸스의 정체가 드러나자 상황은 정반대로 흘러간다. (40)

 

인지 전에 모르던 일이 갑자기 드러나는 것으로 특히 어떤 일이 나타나면서 대단원이나 결말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61)

 

이때 등장인물은 극에서 설정한 행운이나 불운에 따라 친국 혹은 원수가 된다.

이런 일이 반전과 동시에 일어날 때 최고의 인지가 된다. (41)

가장 훌륭한 예가 오이디푸스 왕의 경우다.

 

이 책그리스 비극 공부에 도움이 된다.

 

비극의 발전과정을 알게 된다.

 

아이스킬로스는 처음으로 배우의 수를 한 명에서 두 명으로 늘렸고합창을 줄이고 극이 대화 위주로 진행되게도 했다.

소포클레스는 배우의 수를 세 명으로 늘렸고무대에 배경 그림을 도입했다. (21)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 분석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극작 이론을 설명하는 가운데호메로스와 그리스 3대 비극작가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의 실제 작품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제시하고 있다.

 

아이스킬로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64

필록테테스』 89, 95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40, 41, 46, 50, 59,65, 100,115

안티고네』 53,

부상당한 오디세우스』 52,

테레우스』 63,

엘렉트라』 100

 

에우리피데스

타우리케의 이피게네이아』 42, 63, 64, 65, 67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58

메데이아』 52, 58, 112

크레스폰데스』 54,

오레스테스』 57, 112

트로이의 여자들, 95

 

호메로스에 대하여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남긴 호메로스에 대하여도역시 분석을 하고 있다.

 

반면에 호메로스는 다른 점에서도 뛰어나지만배워서 익힌 것이든 타고난 것이든 이 점을 잘 알았던 것 같다오디세이아를 쓸 때 호메로스는 주인공에게 일어난 일을 다 다루지는 않았다예컨대 주인공이 파르낫소스 산에서 다친 일이나출전하지 않으려고 미친 척한 일 같은 것은 다루지 않았다이 두 사건은 개연성이나 필연성 측면에서 주인공에게 일어난 다른 일과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었다도리어 호메로스는 앞에서 말한 하나의 통일된 행위를 중심으로 오디세이아를 구성했고일리아스도 마찬가지였다. (34)

 

다시이 책은?

 

시학에는 비극편만 들어있다희극편은 없다.

학자들은 원래 시학에는 희극편도 들어있었는데 중간에 망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이런 사실을 근거로 하여 움베르토 에코는 장미의 이름이란 걸작을 썼다.

그러니 아리스토텔레스는 남아있는 비극편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없어진 부분으로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니이 책 시학』 대단한 책이라는 것다시 확인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이 책을 읽지 않고서는 문학을 논할 수 없다는 점강조하고 싶다해서 이 책은 모든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꼭 읽어야 할 기본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