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 보이는 별별 우리떡]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역사가 보이는 별별 우리 떡 ㅣ 작은 것의 큰 역사
박혜숙 지음, 김령언 그림 / 한솔수북 / 2014년 8월
평점 :
<떡에 얽히 속담과 역사까지>
떡보다 빵에 익숙해져 있는 요즘 아이들에게 떡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학원 이동하면서 먹는 간식이라고 하기에는 떡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와 역사 문화가 너무도 많다. 한솔수북의 작은 것의 큰 역사 시리즈는 우리 역사와 문화 속에 숨어 있는 작은 것들을 찾아 아이들에게 전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리즈인 듯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2.jpg)
떡에 대한 설명 전에 떡에 얽힌 재미난 옛이야기부터 읽는 것이 마음에 든다. 아무리 부자라도 먹을 게 없으면 소용없다는 걸 가르쳐주는 욕심쟁이 부자이야기부터 혼자 떡먹다가 엉덩이가 빨개진 원숭이 이야기까지, 어디서 들어 본 듯한 이야기도 있지만 처음 듣는 이야기도 있어서 재미있다.
떡은 언제부터 먹었을까? 인절미는 왜 인절미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3.jpg)
얼마나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떡을 먹었는지는 역사 속의 벽화에서부터 찾아 볼 수 있다는데 이러한 정보로 배울 수 있다. 고려때 상화라는 특이한 떡이 있는가 하면 백결선생의 방아 이야기, 인조 때 피난을 가서 먹은 임씨의 떡에서 유래된 인절미, 특히나 떡과 관련된 지명은 정말 특이한 이야기였다. 집에서 가까운 버티고개의 이야기는 귀에 쏙 들어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5.jpg)
이러한 역사적인 이야기 외에 떡을 지을 때 필요한 도구들에 대한 설명부터 떡의 다양한 종류와 의미에 대한 설명도 사진 그림과 더해져서 아이들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듯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6.jpg)
특히 떡을 만들 때 넣는 떡살은 그냥 모양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는 것은 흥미로웠다. 이제 떡을 먹을 때마다 이 떡은 어떤 의미인지 알고 먹게 되니 더 맛나게 감사하게 먹지 않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015/pimg_7470641041087118.jpg)
옛날과 오늘날의 떡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지만 서양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이 접하고 먹게 되는 떡의 의미를 아이들과 알아가면 빵대신 떡이 더 달콤하고 맛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떡에 얽힌 우리 문화와 역사, 전통까지 한번에 알아보는 재미난 책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