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의 교육을 설계한다 - 문제 풀이 수업에서 문제 해결 교육으로, 개인적 성취에서 사회적 실현으로
마크 프렌스키 지음,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2018년 11월
평점 :
교육에 관련된 사항은 예전이나 지금도 항상 논쟁거리이고 항상 발전해왔다.
이 책에서는 이론 중심의 교육이 아닌 사회참여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저자
저자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교육자이자 미래학자로서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그 실현을 위해 활동 중이라고 한다.
총평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과거의 교육문화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교육 모델을 적용하려고 애쓰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입시 위주의 교육이다 보니 너무 이론 중심적인 교육이 많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이론 중심의 교육이 꼭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이것은 전 세계의 교육자들이 고민하고 있고, 또 바꾸기위해서 새로운 교육 모델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새로운 교육모델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책 내용

이 책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효과적이라는 단어이다.
효과적인 사고력
효과적인 행동력
효과적인 대인관계 능력
효과적인 사회참여 실현 능력
위 네 가지는 저자가 얘기하는 더 나은 세상 만들기 교육과정의 핵심 주제이다.
새로운 교육을 계획하기 위해 필요한 위 네 가지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휘되어야 하고, 이는 사회참여 프로젝트의 목적이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과거에는 결코 실현 가능하지 않았던 교육이지만, 최근엔 가르치는 교육자들부터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새로운 시도(저자가 언급하는 사회참여 프로젝트 기반의 K-12 교육)를 하고 있다.
책에서는 수많은 학생 사회참여 프로젝트를 소개했고, 그 프로젝트들이 모여있는 사이트(www.empoweredkids.org)를 언급했다.
어떤 프로젝트들이 있을까 궁금해서 직접 사이트를 방문해봤는데.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정말 다양하게 나열되어 있었다.
관심이 있는 프로젝트에 쉽게 참여할 수 있고, 현황 파악을 할 수 있는 것 같았다.
비록 미국 내에서만 국한된 사이트이지만 국내에도 비슷한 사이트가 생겨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최근 떠오르는 새로운 교육 모델로 사회참여 실현 모델이 있다.
그 교육모델은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실질적인 사회참여 실현에 있으며 학습은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량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는 책 초반부터 새로운 교육모델을 소개함과 함께 사회 참여 활동 또는 현장체험학습, 사회참여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참여 프로젝트만 강조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이론 중심의 교육과 맞물려야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특히 교육자로서의 자신의 생각을 많이 나열하는데, 개인적으로 공감이 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사회참여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고려할 때, 주로 자신에게만 이로운 개인적 성취(achievement)와 다른 사람이나 세상에 이로운 사회적 실현(accomplishment)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그 두가지는 엄연히 다른 의미이며, 실현이라는 말은 성취와 별개로 세상 전체나 일부에 도움이 되는 일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얘기한다. 우리는 사회적 실현을 이루기 위해 개인적 성취를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새로운 교육에 맞게 에듀테크(교육 전용 기술)도 함께 바뀌어야 한다고 얘기한다. 지금의 에듀테크는 주로 이론 중심의 낡은 패러다임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에듀테크가 진정으로 교육의 발전과 우리 아이들의 발전을 돕기 위해서는 낡은 패러다임을 멈추고 새로 등장한 사회참여 실현 기반의 더 나은 세상 만들기 교육을 향해 가야한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교육 모델에 맞게 교사들도 변화해야 한다.
과거에는 교사들의 역할이 이론(내용) 전달자 역할이었다면, 이제는 아이들의 역량 강화자 및 코치로 변모해야 한다고 저자는 얘기한다. 역량 강화자로서 교사가 해야 하는 일은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모든 과정의 아이들이 연속적이고 도전적인 사회 개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교사는 프로젝트의 '내용'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않아도 된다.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고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된다.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변화하는 세상에 과거의 이론 중심 교육은 그다지 도움이 안된다. 교육에도 빠르게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새로운 교육 모델이 나오고 있다. 세상에는 구조적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얼마나 성공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평가하는 공식이 있다.

현재 교육에 대한 불만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새로운 교육에 대한 공통적인 비전이다. 여기에 이론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비전에 대한 시도들이 합쳐진다면 새로운 교육 모델은 그에 대항하는 저항값보다 커질 것이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를 되돌아봤을 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이어져온 입시 위주의 교육이다. 유치원부터 다양한 시도를 하고, 교육을 바꿔가고 있지만, 결국은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으로 끝난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대학 입시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버리지 않고서는 교육이 바뀌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과거의 이론 중심의 교육보다는 사회참여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이 많이 확대되고, 그 교육을 받으며 아이들이 열정을 가지고 성장하는 모습을 갖길 바래본다.
#미래교육, #사회참여, #성취, #실현, #한문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