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 - 유전과 환경, 그리고 경험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케빈 J.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유전과 환경, 그리고 경험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우리의 삶에서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들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과, 성장하는 과정에서 조금 다른 방향으로 달라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상당히 많은 의문을 가져온다. 성선설과 성악설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처럼. 특히나 아이의 전혀다른 성향을 보게 되는 경우는 무엇이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한 궁금증은 상당하다.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의 작가 케빈 J.미첼 교수는 뇌의 신경망 배선을 지정하는 유전 프로그램과 인간의 능력변화 및 지각 상태와의 관련성 이해를 목적으로 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인간의 자율적 행동 및 의사결정 능력과 관련된 행위성과 자유의지에도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도서에서는 유전적인 기본적인 기질과 성격에 환경과 경험이 우리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설명을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전개한다.

 

인간은 본성이라는 유전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거기에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인간관계의 기본적인 시선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시간을 만들어 준다. 같은 유전자를 가진 쌍둥이와 다른 형제의 뇌 사진을 비교하는 등등 우리 가 마주하는 수많은 인간관계에서 다름에 대한 것 역시 고정관념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예컨대 남자들은 싸움놀이를 더 좋아하고, 여자들은 다소 안정적인 활동을 더 많이 하는 등에 대해서.

 

저자는 유전자는 선천적으로 정해져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거기에 우리의 성장환경과 다양한 경험들이 무엇인가에 따라 삶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흘러가기도 한다. 여기서 문득 든 생각. 그러한 환경과 경험들을 받아들이고 성장하는 과정또한 유전적인 요소는 아닐까? 하는. 그래도 상담과정에서 만난 아이들 생각이 난다. 어려운 환경이지만 밝고 긍정적이고, 조언에 따라 긍정적인 면을 보려고 하는 아이. 다소 냉소적이고 변화에 부정적인 아이, 그들이 받아들이고 나아가야 하는 그들의 생각도 어쩌면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그래도 도서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들이 성장하는 환경에 조금 더 어른다운 어른들이 옆에 있어 주면 좀더 긍정적인 성인으로 성장할 있지 않을까?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에서 다루는 다양한 성향과 유전적인 요소. 여기에서 무엇보다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서 오는 힘이 있다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저자의 말은 인간 본성에 대한 다양성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 그것이 인간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는 쌍둥이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나 실제 연구사례들을 다룸으로써 유전학이라는 과학적인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나와있는 결과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그러나 인간 본성에 대해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성장배경에 대한 구분을 단정짓지 못한다. 이것이 이 책이 주는 매력이다. 유전학에 대한 비밀을 알아보고 싶은 사람에게, 아이들의 성향의 다름에 대한 고민을 하는 부모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도서내용 중>

 

p34. 개인의 두뇌 배선 방식은 유전적 구성뿐 아니라 발달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했는가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것이 핵심이다. 특정 형질의 변이가 오직 일부만 유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해서 나머지 변이가 반드시 환경적 요인이나 양육으로 결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p159. 중요한 것은지금껏 본성이라 불러온 초기 개인차가 유전과 발달 변이 모두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발달의 출발점은 이미 유전적 요인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저 마다의 발달 과정에서 최정적으로 도달하는 결과는 여전히 독특할 것이다.

 

p264.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에서 IQ의 유전력이 더 낮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를 생각해보자. 이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지역사회에서 환경의 변동성이 더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p318.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싸움놀이를 더 많이 하리라 기대하는 이유는 실제로 그러한 모습을 꾸준히 보아왔다는 점에서 였다. 그리고 남성이 여성보다 더 폭력적이라 예상하는 이유 또한 남성이 실제로 여성보다 더 그러한 성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p408.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서 오는 힘이 있다. 그 사람은 친구나 파트너, 직장동료, 또는 자녀나 형제자매일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