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 - 공감 관계 소통 설득 … 무례한 사람도 내 편으로 만드는 4단계 대화 수업
최지훈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말 잘하는 사람보다 잘 말하는 사람이 되는 법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말을 잘한다는 것과 잘 말한다는 것에 대한 차이는 크다. 수많은 관계속에서 말을 잘 하는 사람보다는 잘 말하는 사람에게 신뢰가 가고, 그 사람의 말하는 법에 대해 배워가려고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

 

최지훈 작가의 [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 에서 대화는 특별한 재능이 아니라 훈련과 연습을 통해 충분히 길러질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하며, 소통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화려한 언변이 아니라, 듣는 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핵심을 정확히 전달하는 말의 구조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도서에서 대화와 소통에 대한 이해와 실전에서 구사할 수 있는 팁을 안내한다.

 

저자는 말에도 구조가 있다고 전한다. 상대와 감정을 연결하는 공감, 신뢰를 쌓게 되는 관계, 구조있는 전달을 위한 소통방법, 마지막으로 결과를 만드는 대화인 설득의 단계로 구분한다. 각 단계마다 말하는 방식은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고 관계를 새롭게 하는 것이 대화의 본질이다. 저자는 도서에서 대화를 하기에 앞서 내 감정의 실재를 확인하고, 내 감정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 상대에게 내가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내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객과적으로 긍정형과 현재형으로 말하는 것이 핵심이다. 잘 말하는 것은 말의 구조가 탄탄하고 정확한 맥락과 듣는 사람과 생각과 감정의 공유가 얼마나 연결되느냐고 달려있다. 즉 소통에 중요성을 강조한다. 잘 말하는 것은 상대의 감정을 움직이고 행동을 이끌어 내는 것으로 경청과 함께 카리스마 패턴을 소개한다. 촉각형, 청각형, 시각형, 사고형 네가지 순서로 감각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에서 설득은 화려한 외모나 언변보다는 감정과 직관이 중요하며, 이성과 논리(로고스 10%)보다 신뢰(에토스 30%)와 감성(60%)이 차지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고 말한다. 즉 상대방의 신뢰와 공감을 이끌어 내는게 설득의 핵심이다. 상대의 방어기재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것 또한 설득의 기술이다.

 

[프로는 어떻게 말하는가]는 공감(적에게도 인정받고 싶은 것이 사람이다), 관계(말의 온도를 높여 관계를 쌓아가는 법), 소통(짧은 대화에도 구조가 필요하다), 설득( 반드시 결과를 만드는 프로의 설득법)으로 구분하고 각 장마다 말하기 기술에 대한 핵심을 짚어준다. 첫인상의 중요함과 좋은 첫인상을 강하게 남기는 방법부터 직장이나 사회생활에서 만나게 되는 상황에 따라 매너와 인정받는 말하기에 대한 기술을 자세히 안내한다.

 

화려한 언변이나 유창함과는 다른 의미로 상대의 입장에서 공감, 관계, 소통, 설득이라는 4단계를 이해하는 잘 말하는 기술은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내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시키고 신뢰를 통한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가는 하나의 기술이다. 스피치, 면접 등 실전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 더 좋다.

 

<도서내용 중>

 

p138. 비즈니스 환경에서 첫인상을 가장 빠르게 결정짓는 요소는 바로 용모와 복장입니다. 아무리 실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도 단정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면 전문성과 신뢰감이 떨어지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비느니스와 관계된 자리에서는 개인의 취향보다 공적인 자리에 맞는 복장을 갖춰야 한다.

 

p162. 말의 내용이 정확하게 전달되려면 대화 당사자들 사이에 4가지 요소(맥락, 메시지, 코드, 채널)가 일치하고 소음원이 최대한 제거되어야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맞지 않거나 소음원이 끼어들면 메시지가 왜곡되어 불필요한 질문과 소모적인 답변이 이어지고, 결국 오해와 갈등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232. 인간은 익숙한 환경과 기존 신념을 유지하려는 항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맞지 않는 정보나 변화는 본능적으로 거부하려고 하지요. 이를 방어기제라고 합니다. 방어기제가 작동하면 설득을 받아들이기보다 방어하거나 반박하려는 심리가 강해집니다.

 

#프로는어떻게말하는가#최지훈#흐름출판#자기계발#잘말하는법#북유럽#카이로스의포춘쿠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