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 - 불행도 다행으로 만드는 나만의 기술
이주윤 지음 / 한빛비즈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불행도 다행으로 만드는 나만의 기술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사회가 복잡다양해 지고, 수많은 정보에 노출이 되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 자체가 참 힘든 환경에 있다. 그저 혼자 잘 살아가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나와 연결된 관계라는 사회가 날 가만히 두지 않는 것도 사실. 여기서 이말을 하고, 저기서 저말을 하면서 소위 나를 위한다는 수많은 말들이 어떤땐 참 피곤하다 싶다. 거기에서 느껴지는 감정소모들. 그것들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함에서 오는 피곤함들. 이렇게 생각해 보니 너무 소란스럽다. 이렇게 소란스러운 세상에서 나를 지킬 수 있는 말습관. 기대된다.

 

어휘력의 달인 이주윤 작가가 제안하는 유쾌한 반전의 문장들을 담은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은 관점을 달리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한차원 높인 말습관에 기술을 더해 읽는 내내 유쾌함으로 내가 그걸 몰랐네, 혹은 내가 그걸 놓쳤네 하면서 박수를 치게 된다.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는 부정적인 감정을 털어내는 말, 나를 칭찬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말, 바쁘게 사느라 잊었던 일상의 행복을 찾는 말, 지금의 내 삶을 사랑하는 말, 그리고 타인과 더불어 잘 살아가고자 노력하는 말 로 5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오늘의 한마디로 다소 쿨한 문장을 시작으로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뜻풀이, 변형된 문장을 소개하고 저자가 직접그린 웃음이 나오는 그림으로 기분 전환할 시간을 준다. 저자가 경험한 에피소드들 속에 긍정적인 감정으로의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다. 그리고 자신만의 생각을 완성해 볼 수 있도록 오늘의 미션을 더해준다.

 

누군가의 칭찬이 나에게는 상처가 될수도 있고, 지대한 관심은 나에 대한 배려라기 보다는 지침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도서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은 저자가 세상에서 부딪치는 이러한 일상적인 사건들에서 어쩌면 성공스토리나, 혹은 잘난척하는 듯한 이야기라기 보다는 조금은 나와 비슷한 구석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어 더 흥미롭게 다가갔을 수도 있다.

 

누군가가 던진 말에 상처를 입었을 때 쓰레기 버리듯 그저 버리라는 말이나 손주는 다음생에 낳아드리겠다는 말이나, 용기있으면 다 언니 등등 세상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는 가에 따라 내 감정소모가 덜할 수 있다. 모든 일들을 유쾌하게 표현하고 있지만 세상은 그렇게 녹녹하지만은 않으니. 샤워하면서 하루의 부정적인 일들을 비누거품에 녹여내듯 씻어 버릴 수 있으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때도 있고. 그래도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말습관]에 담긴 이야기들을 읽어 내려가면서 조금은 속 시원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기에 더해 구입하려던 음료수가 1+1이라는 상황에 행운의 여신이 나를 따라나니나봐 하며 나 스스로 기분좋은 상황을 만드는 것들. 소소한 것들에서 발견하는 감정들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저자가 전하는 말들이 약간 거슬리게 다가올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조금 조절해 가면서 자신에 맞게 말하는 것도 필요할 듯.

 

소란한 세상에서 조금은 자신에게 잘하고 있다고 말해주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

 

<도서내용 중>

 

p34. 좁은 집을 넓게 쓰려면 물건을 들이지 않아야 하듯, 좁은 마음을 넓게 쓰려면 쓸데 없는 말도 품고 있어서는 아니되는 것이었다.

 

p69. 창문너머 저 멀리로 아주머니라 부르기에는 다소 애매하고, 할머니라 부르자니 어쩐지 송구스러운 그녀가 간다.옆구리에 새하얀 노트북을 끼고 한손에는 커피를 든채 그 누구 보다도 밝고 경쾌하게 걸어가는 뒷모습이 제법 대학생 같기도 하다. 내가 그녀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부르기 어려워 했던 이유를 이제야 할겠다. 저기, 언니가 간다.

 

p101. 은행나무를 가로수로 택한 이유는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깨달음을 주기 위한 살림청의 깊은 뜻은 아니었을까? 이다지도 철학적인 나라에서 태어난 나는 정말 행운아구나! 이제 막 글자를 깨친 아이처럼, 땅위에 갈지자를 그리고 또 그려본다.

 

p160. 나는 창문 너머로 나무가 보이는 작은 집에 살고 싶다고 말했다. 그 누구도 그래서는 안된다며 반박하지 않았다. 남이 좋아하는 집에 나를 욱여넣지 않아도 괜찮다는 동의를 얻은 나는 창밖으로 나무가 보이는 집의 목록을 구했다. 이제 남은 건 딱하나, 돈만 구하면 된다. 그것도 아주 많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