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 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유미 지음 / 샘터사 / 2025년 3월
평점 :
서평]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도서에 담긴 내용은 지극히 개인적인 간병기를 담았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쩌면 나이든 부모님과 부모님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젊은 세대가 한번 쯤은 고민해야할 부분을 진솔하게 담아냈다.
유미작가의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는 섬망증상과 뇌종양으로 인한 치료와 요양과정을 담아낸 에세이다.
우리의 부모들은 자식들을 위해 많은 것을 내어주고, 나이 들어 가면서 여기저기 아프다. 그러면서도 자식들에게 더 못내어 주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자식들은 그것이 당연한 것 마냥, 부모가 아픈 것은 자식들이 감당하기에는 불편함으로 느끼기도 한다. 도서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는 유미 작가가 엄마의 아픔에 대하는 자세가 보통의 우리들의 처지와 다를 것이 없다. 나 역시도 엄마가 아플 때 곁에 있어 주지 못하고 병원에, 간병인에게 맡겨둔채로 엄마에게 잘 해 주겠거니 하는 스스로의 위로를 하곤 했으니. 엄마에 대한 미안한 마음 한 켠에는 엄마를 보호해 줄 사람이 있다는 의지가 어쩌면 내 개인적으로 참 이기적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노릇 아닌가 하는 스스로의 회피도 있었음을 안다. 도서에서 등장하는 병원의 일들,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모습들은 더 마음이 쓰인다. 요양원이라는 곳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내 부모를 모신다는 생각을 하면 고개를 갸웃거리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유미작가의 이야기처럼 엄마의 인생을 내가 좌지우지 하는 것도 월권이고, 엄마의 생각을 내가 미리 결정지어 버리는 것도 웃기는 일이다.
치매 증상을 보이는 부모의 간병에는 가족들의 일상생활이 다 무너지는 것도 사실이다. 이럴 때 요양원은 어쩌면 열쇠가 될 수도 있다.우후죽순 생겨나는 요양원이 조금은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조금더 편안함으로 갖춰진 요양원이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엄마를 모시면서 가족과의 관계, 그리고 유미작가가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다양한 상황들이 마음이 많이 쓰인다. 그래도 엄마의 시간을 이해하고 받아줄 수 있는 마음이 있어 좋다.
죽음은 피할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죽는 시점까지의 삶을 사는 것처럼 살아야 한다. 최소한의 인간적 존엄성을 지키면서. 존엄성을 지킨 다는 것. 그것이 의미하는 것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된다.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그녀와 그녀의 딸, 그들의 시간을 위로한다.
<도서내용 중>
p28. 눈물이 핑 돌았다. 몸은 병상에 누워 있지만 정신은 나그네처럼 전국 팔도를 자유롭게돌아다니는 엄마의 모습이 그려졌다. 아픈 사람은 병원 침대에 누워 치료받아야 한다는 일차원적인 생각 뿐, 엄마의 마음이 어떨지 생각해 본적이 없다. 환자이기 전에 자유를 사랑하는 한 사람인데, 아프다고 해서 인간으로서 당연한 욕구가 이렇게 간단히 무시되어도 될까? 아픈 사람도, 사람인데.

p70. 뼛속까지 무력해지고서야 서서히 깨달았다. 나는 특별히 잘난게 아니었다. 그저 좋은 환경에서 태어나 운이 따라줘서 절 풀린다 착각했을 뿐. 맨몸으로 세상에 부딪히고 서야 진짜 나라는 인간을 마주하게 된 것이다.

p117. 우리엄마의 자식들은 너무 쉽게 엄마를 요양원에 보냈고, 엄마가 핸드폰도 빼앗기고 할머니한테 혼났는데도 가만히 있었다. 나는 천하의 몹쓸 불효자식인 걸까? 엄마가 요양원에 간 이유 중에는 ‘남ㅁ편 너를 포함한 내 가정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서’도 있ㄷ는 걸 모르나 보네. 치매 카페에서 받은 위로가 무색하게 가슴에 새로운 상처가 남았다.

p193. 그래. 졌다, 졌어. 엄마, 이제 엄마가 원하는 대로 살아. 훨 훨 날아가. 엄마의 인생은 엄마가 결정해. 나는 이제 엄마가 하자는 대로 할게. 내가 엄마의 딸이고 엄마를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긴 해도 엄마의 인생을 좌지우지하는 건 월권이었을지 모른다. 그녀는 주인이 되어 자신의 인생을 살고자 했을 것이다. 아주 짧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