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훈련의 모든 것 - 나이가 몇 살이든 늦지 않은
시노하라 키쿠노리 지음, 김은서 옮김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뇌 훈련의 모든 것/나이가 몇 살이든 늦지 않은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회사에서 업무를 하면서도 종종 이거 뭐였지? 어떻게 처리했었지? 하면서 머리싸매는 시간이 있다. 집에서야 뭐 냉장고 앞에 서서 내가 여길 왜 왔지? 하면서 내 머리를 콩때리기도 한다. 내가 휴대폰을 어디에 뒀더라? 에고 이것저것 많이도 잊어 버린다. 이러다 나 병원가봐야 되는거 아냐?하는 지경에 이른다. 뇌라는 것이 쓰면 쓸수록 용량도, 활동도 늘어난다고 이론적으로 알고는 있지만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조금 더 활발한 뇌쓰임을 하게 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매번 하게 되는 부분이다.

 

뇌과학자 시노하라 키쿠노리의 [뇌 훈련의 모든 것] 에서는 60세 부터라도 늦지 않은 뇌 단련법, 퍼즐 등 뇌를 단련하는 훈련법, 우리의 기억은 복습에서 장기 기억으로 이어진다, 일상생활에서 뇌를 지키는 법법, 뇌를 건강하게 만드는 생활방식으로 구분하고 뇌의 발달을 촉진하는 뇌과학에 대해 우리가 일상에서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으면서 그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뇌관리 방법을 안내한다.

 

저자는 [뇌 훈련의 모든 것]에서 나이가 들었다고 뇌가 둔화되는 것은 아니며, 뇌역시 쓰지 않으면 그 영역이 줄어들고 우리가 느끼는 두려운 부분으로 다가온다는 것을 말한다. 즉 뇌라는 것이 나이, 유전적인 요인도 분명있지만 우리가 어떻게 훈련하고, 뇌를 좀더 활성화 할 것에 대한 방법적인 요인도 분명작용한다. 뇌에 수면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않았다. 그런데 수면이 부족과 운동 부족이 뇌 기능에 영향을 준다. 늘 같은 일상이 반복되는 경우 뇌는 새로운 자극을 받지 못해 정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뇌 훈련을 위한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먼저 수면의 질을 높여야 하고, 운동을 해야 한다. 뭐 이런 기본적인 이론들이야 다들 알고 있는 부분이지 않나? 저자는 뇌 훈련법이라는 것이 거창하거나 복잡할 것이 하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3분 간격으로 빨리 걷기와 느리게 걷는 인터벌 경보같은 유산소 운동이나 제자리에서 걷기에도 조금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 기억력에 도움을 준다. 생선이나 견과류 등과 같은 뇌에 좋다는 음식도 챙겨 먹어야 한다. 무엇보다 무언가를 시작하는데 있어 이러쿵저러쿵 말하지 말고 시작하라는 저자의 말에 격하게 공감하게 된다.

 

잘될때보다 안되어 애쓰고 있을 때, 어떤 문제에 접근할 때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도전하는 경우, 총명함보다는 노력에 집중할 때 뇌활성화 부분은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놓치면 안되는 부분이다.

 

뇌훈련 이라는 것을 복잡하게 접근하지 않는 것이 이 책의 매력이다. 그리고 무언가에 도전할 때는 두근거려, 흥분된다라고 말하는 것, 도전이 끝났을 때는 재미있었어 라고 말하라고 하는 저자의 말에 거창한 것을 생각하고 도전하는 것보다 일상생활에서 소소하게 만나게 되는 수많은 것들을 기억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것. 도서에서 제시하는 퍼즐이나 훈련법으로 나와있는 부분도 함께 풀어가는 것도 재미있다.

 

<도서내용 중>

 

p16. 하지만 실제로 뇌는 강력한 기억 장치(Memory Machine)’, 뇌에는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통해서 터득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50세나 60세가 되더라도 새로운 기억은 뇌에 계속해서 입력(Input)됩니다. 이는 80세나 90, 100세에도 마찬가지입니다.

 

p45. 잘 안되어서 노력할 때, 잘 안되어서 애쓰고 있을 때야 말로 전전두엽 영역이 활성화되고, 뇌가 단련됩니다. 여담이지만 자녀나 손자, 부하직원이나 주변인이 무언가를 열심히 하고 일을 때에도, 잘 될 때보다 안되어서 애쓰고 있을 때야 말로 뇌가 단련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아주세요.

 

p125. 드웩에 따르면 노력을 칭찬받은 아이들은 노력을 한층 더 인정받고자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지만, 총명함을 칭찬받은 아이들은 자신을 총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또는 총명하다는 평가를 지키기 위해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고 합니다.

 

p155.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그시간보다 길고 고독하게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보고가 있으며, 사람을 많이 접하면 접할수록, 고독한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p193. 무언가에 도전할 때에는 두근거려, 흥분된다 라고 말해봅시다, 그리고 도전이 끝났을 때에도 재미있었어 라고 말해 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