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송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 하는 이야기가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 작품을 감상할 때마다 드는 느낌은 그때그때 다르다. 내 감정의 온도에 따라서 다르게 다가온다.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은 미술이 어렵거나 예술이 부담스러운 분, 미술 분야로 진로를 탐색하는 청소년, 요즘따라 예술 입맛을 일어버린 사람들에게 이 책이 우연히 만난 괜찮은 식당이면 좋겠다는 송주영작가의 예술을 바라보는 시선을 보여준다. 도서는 개인취향 존중시대의 그림 감상법, 오래전 미술 다시보기, 반전있는 그림, 근현대 미술, 동시대 미술, 그림속 여자, 그림 그리는 여자, 내일을 위한 미술교육 총 7부로 나누고 각 파트별로 그림을 보는 방법, 그림의 시대적인 배경등을 통해 예술작품으로 불리는 작품에 좀더 가깝게 다가가는 방법을 안내한다.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얼마만큼 알고 있느냐에 따라 작품의 감상은 달라진다. 그림에 담겨있는 시대적인 배경과 화가의 상황이나 정치적인 배경등 다양한 정보 등에 따라 작품을 해석하는 방향도 달라진다. 예술작품을 외형, 형태, 윤곽이나 구조 등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의도를 알아채게 되기도 한다.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 작품의 사전 정보나 배경 지식들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도 사실이나 이러한 정보 없이도 자신에게 감동으로 남겨지는 작품들을 만날 수도 있다.

 

저자는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에서 그림을 본다는 것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사이에서 감상자 개인의 경험이 더해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여기에서도 감상테크닉이 필요한데 바로 상상력을 더하는 것이다. 작품을 감상하는데 단순히 지식적인 사고가 아닌 자신만의 감정도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이 더해져 많은 작품들을 감상하는데 해석도 풍부해지고, 작품에 의도되었던 비밀스러운 장면들도 발견하게 되기도 한다.

 

저자는 아무리 유명한 예술 작품도 나에게 의미가 없다면 텅빈 감상이다라고 말한다. 작품에 대해 교과서적으로 전문가들이 내린 평가가 정답은 아니다. 내가 느끼는 감정에 충실하는 것, 그것 역시 작품을 대하는 방법중 하나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을 읽어 가면서 예술 작품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게 된다.

 

[그림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에서 보여주는 작품과 작품에 담긴 정치적인 의도에 의해 어떤 형태로 작품이 탄생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행하게 되는 스타일의 그림을 보는 것도 매력있다. 꽤 괜찮은 식당에서 전시된 작품을 감상하는 기분으로 읽게 되는 책이다.

 

<도서내용 중>

 

p16. 예술 작품의 감상은 어느 한쪽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림을 본다는 것은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사이에서 감상자 개인의 경험이 더해지는 과정이다. 이 사이를 조율하는 감상 테크닉이 있다. 바로 상상력, 즉 스토리텔링이다

 

p119. 역사를 대하는 우리의 학술적자세가 늘 열려 있어야 함을 믿는다면, 루벤스의 동양인이 한국인이 아니라는 사실에 실망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놓쳤을지도 모를 과거의 진실에 좀더 가까이 다가갔음에 설레야 한다.

 

p126. 미술작품이나 유물을 복원하는 것은 기억과 가치를 복원하는 것이며, 잃어버리고 싶지 않은 시간을 복원하는 일이다.

 

p221. 이에 슬리만은 답한다. 미술가,음악가,문인 등 모든 예술가들은 정치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정치적이지 않은 예술작품은 없다.내 그림에도 꽃과 여인이 있지만 아마도 다르게 전달될 것이다.

 

p341. 천재는 캔버스 그 자체가 되지만, 그런 천재를 알아보는 눈이 이는 사람은 액자가 되는 것도 괜찮겠다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