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공허한가 - 문제는 나인가, 세상인가 현실의 벽 앞에서 우리가 묻지 않는 것들
멍칭옌 지음, 하은지 옮김 / 이든서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우리는 왜 공허한가/문제는 나인가, 세상인가 현실의 벽 앞에서 우리가 묻지 않는 것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공허하다는 것은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있다는 말을 의미한다. 우리는 종종 공허하다는 이야기를 종종하면서, 각자가 생각하는 삶의 의미에 대해 깊게 고민을 하기도 한다.

 

멍칭옌 중국 정법대학 교수의 [우리는 왜 공허한가]는 시대의 변화속에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공허함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사회의 흐름에 현명하게 흘러가게 하는 방법을 사회학적인 접근을 통해 고민하게 한다.

 

전통사회에서는 삶의 의미를 나자신을 제외한 다른 곳, 종교나 정치, 가정이나 윤리적인 도덕등 외부의 가치영역에 두었다. 현대사회에서는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사회적인 부분에서 오는 정보들로 인해 가치기준이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우리는 왜 공허한가]에서 저자는 내가 무기력한 이유는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는 외모에 대한 강박과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들에 노출되는 것에 대한 심리적인 관점, 게임중독으로 인한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현대인의 문제 등 사회적인 부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 진정한 대화가 사라졌다. 객관적인 사실이 아닌 단편적인 정보를 통해 타인을 평가하고 판단한다. 디지털 측면에서의 노출로 인해 내 개인적인 취향이나 감정들을 소위 알고리즘이 대변한다. 이것이 과연 진정한 나를 표현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할 부분이다. 다른 사람들의 보여지는 것에 대한 동경이 공허한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저자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사회적인 측면에서 마주하게 되는 공허함이라는 감정을 스스로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라고 한다. 비관적이거나 슬픈 감정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한다.

 

도서는 1장 추상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에서 현대인의 공허,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이유, 디지털 공간에서 대두되는 문제를 다룬다. 2장 현대인의 공허, 그 너머에서는 외모, 훌쩍 떠나고 싶은 이유, 집이 주는 의미, 교육산업 등을 이야기 한다. 3장 존재의 가벼움 관계의 무거움에서 인간의 욕망, 고령화 사회에 대두되는 문제점, 우울증 등 개인 적인 측면의 문제를 살핀다.

 

[우리는 왜 공허한가]는 중국작가의 작품이어 중국 관련 내용으로 진행되지만 현재의 우리의 사회적인 모습과 많이 비슷하다. 그래서 더 공감이 간다. 저자는 삶의 의미나 현대인들이 느끼는 공허함에 대해 모범답안은 없다고 말한다. 각자가 느끼는 삶의 의미나 공허함에 대한 답은 각자가 찾아야 한다. 정답은 없다. 각자가 자신이 생각하는 삶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봐야할 시간이다.

 

<도서내용 중>

 

p37. 어쩌면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는 삶의 의미는 어디에서 오는가?’오 같은 것이 아나라 삶의의미는 대체 어디에 있는가?’,‘삶은 정말 의미를 지녀야 하는가?’와 같은 한결 더 날 것의 문제가 아닐 까?

 

p103. 현대인이 망각하는 중요한 한 가지는 온라인에서 눈으로 목격한 진실 역시 실제로는 부호화된 사실의 한 파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같은 행위라고 해도 카메라 렌즈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p146. 삶의 의미란 무엇인가에 대한 모범 답안은 없다. 누군가는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의미있다고 하고, 또 누군가는 처자식이 삶의 이유이자 의미라고 말한다. 사업적으로 성공하는 것이 삶의 의미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그저 좋은 사람으로 사는게 인생의 목표인 사람도 있다. 이렇듯 현대 사회가 현대인에게 정해진 모범 답안이 없는 열린문제를 제출하다 보니 사람들은 더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맨다.

 

p200.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이 구매에 포커스를 맞춘다. 다시 말하면 구매라는 행위 자체를 통해 일종의 자기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로써 소비 자체가 일종의 습관과 본능으로 변해버렸기 때문에 뭘 샀는지, 그 물건이 쓸모가 있는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p223. 결국 세대 차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의미를 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각 연령층이 처한 시공간에서 형성된 몸과 마음의 상태가 상대방의 세계에서는 온전히 재현되지 못하는 일종의 세대간 불일치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