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 - 세계적인 심리학자 존&줄리 가트맨 박사의 관계 심리학
존 가트맨.줄리 슈워츠 가트맨 지음, 정미나 옮김, 최성애 감수 / 해냄 / 2024년 12월
평점 :
서평]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세계적인 심리학자 존&줄리 가트맨 박사의 관계 심리학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연애하고, 신혼 몇 년동안은 서로에 대한 배려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주고, 싸움보다는 이해하려는 측면이 많다. 우리 부부도 다르지 않다. 그런데 살면서 어느 순간 부터인지 우리 부부역시 소리가 커지고, 다툼이 일어 난다. 왜 나를 이해하지 않느냐는 부분이 많이 작용하는 듯 하다. 그러면서 왜 싸우지? 왜 싸워야 하지 하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관계전문가인 존 가트맨박사와 줄리 가트맨 박사의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는 도서에서 절대 싸우지 않을 방법을 알려주려는 게 아니다. 더 사랑하기 위해 더 잘싸우는 법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라고 말한다. 부부, 연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가진 갈등을 건강한 방법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 가는 방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수많은 커플들을 상담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밝혀진 갈등과 싸움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일상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에서 서로가 바라보는 지향점이 다르고, 가치관이 다르다. 또한 결혼생활이나 삶에서 꿈꾸는 이상들의 차이에서 갈등이 생겨나고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갈등이 있는 부부보다 갈등이 없는 부부가 더 위험하다. 갈등 상황을 마주할 때 서로를 비난하거나 경멸하고, 담을 쌓고, 방어적으로 나서기 보다는 상대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상대의 생각들을 먼저 짚어볼 필요가 있다. 도서에는 갈등이 생겼을 때 회피형과 수긍형의 예시를 보여준다. 나는 회피형. 왠만하면 피하고 싶다. 싸움에서는 감정관리와 상대에대한 존중의 태도도 중요하다. 서로 다투거나 언쟁을 하게 되는 경우, 그 원인이 무엇인지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정적인 대화보다는 긍정적인 대화형식의 필요성, 싸움에 있어 우리가 놓치는 부분이 싸움을 수습하는 것, 여기에서 놓치면 안되는 또하나는 나의 감정 역시 중요하기에 내 감정에 충실한 것.
[행복한 커플은 어떻게 싸우는가]는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라는 기본적인 감정을 가지고, 도서에서는 싸움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긍정적인 대화가 갈등을 해소하는 요점이다. 안싸우는 관계는 없다. 갈등을 어떻게 현명하게 풀어가고, 싸움을 통해 조금 더 발전해 가는 관계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상담커플의 사례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안내한다.
부부나, 연인, 예비부부들에게 추천.
<도서내용 중>
p59. 다툼이 없는 신혼 커플들은 처음엔 좋아보였을지 모르지만, 이후에 저희가 이 거플을 인터뷰해 본 결과 상당수의 여성이 자신의 필요성을 드러내지 않고 억누르면서 겉으로만 갈등이 낮아 보였을 뿐 그 밑에 더 깊은 문제점이 숨겨져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p196. 잊지 마세요. 어떤 갈등 스타일이더라도 우리는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기도 전에 성급히 설득으로 넘어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실수를 저지르지 마세요. 서로의 관점을 먼저 이해하는 일이 최상책 이라는 것도 잊지 마세요. 지금 단계에서는 이해하는 일만이 유일한 목표입니다. 설득은 나중 일이에요.
p239. 갈등에서는 긍정적 대화가 부정적 대화를 5:1의 비율로 능가할 만큼 충분해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부정성은 긍정성보다 영향력이 훨씬 더 막강합니다. 더 강력한 펀치를 날리죠. 그러니 아무리 싸우는 중이더라도 긍정적인 언행이 부정적인 언행을 적어도 5:1로 앞서도록 신경쓰면서 부정성의 영향력을 희석시켜야 합니다.
p335. 어떤 관계에서 큰 힘을 가지는 유일한 방법은 영향력을 받아들일 줄 아는 능력에 있습니다. 진짜 힘을 가지려면 진정한 ‘주거니 받거니’가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다시 말해 상대, 즉 그 상대의 감정, 욕구, 꿈을 소중히 여기고 존중해야 합니다. 기꺼이 상대의 관점에서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상대의 욕구와 꿈에 맞추기 위해 특정 영역에서 기꺼이 유연성을 보여야 합니다. 그러면 상대도 기꺼이 당신의 관점에 귀를 기울이며 당신의 욕구와 꿈에 맞추기 위해 유연성을 보이게 마련입니다.
p371. 하지만 우리가 정말로 잘못하는 지점은 따로 있습니다. 그 싸움을 수습하지 않는 일입니다. 후회할 만한 일이 벌어진 후에 그 일을 어떻게 수습해야 할지 배운적이 없어서 그냥 수습하지 않고 넘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