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 - 모든 판단의 순간에 가장 나답게 기준을 세우는 철학
히라오 마사히로 지음, 최지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서평]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 모든 판단의 순간에 가장 나답게 기준을 세우는 철학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자주, 많이 하곤한다. 그런데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해보지 않았다. 도서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라는 제목을 읽는 순간 내가 생각해 보지 못한 부분에서 충격을 받았다.
도서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는 히라오 마사히로가 윤리란 무엇인가. 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무엇인가, 인간다움은 어떤 것인가에 대해 도덕과 윤리라는 주제를 가지고 풀어낸다.
우리는 대부분 윤리라는 것이 우리가 삶을 영위해 나가는데 지켜야할 기본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윤리를 사람을 구속하는 법처럼 느낀다. 그러면서 윤리가 선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정의에 대해서도 어떤 것이 정의인지, 개인적인 정의와 대중적인 정의를 놓고 고민을 하기도 한다. 현대는 수많은 정보에 노출되고, 다양한 선택을 해야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더해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직면하게 된다. 선과 악, 정의와 불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 스스로 삶을 어떻게 바라보는 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다,
윤리철학은 인간의 행동과 선택에 대한 도덕적 기준을 정립한 학문으로 개인, 사회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윤리철학은 개인이 사회의 일원으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개인적인 선택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의 자유는 책임이 동반되어야 하며, 이것은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측면이다. 저자는 개인의 삶에 친밀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가족, 친구, 연인 등의 관계에서 윤리는 상호 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한다. 여기에서 윤리철학은 인간관계가 우리의 삶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게 된다.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에서 저자는 우리가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윤리적인 판단은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어떤 선택을 함에있어 어떤 가치관으로 어떤 사고를 하는지에 대해 그 선택의 옳고 그름에 대한 윤리적인 판단은 꽤 깊이 고민하게 만들어 준다. 윤리적인 판단을 하고 그 판단의 이유를 스스로 말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이는 우리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기반이 된다. 저자는 [왜 그렇게 살아야 할까]에서 윤리학과 인생론에 대해서도 다룬다. 윤리학은 개인의 상황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는 추상적임을, 인생론은 명확함을 전제로 한다,
저자는 윤리철학에서 개인, 사회, 친밀한관계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윤리적 판단의 기초를 이룬다. 관계에 대한 부분들을 읽어 나가면서 나 스스로 내 삶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 나는 어떤 윤리적인 사고를 하는지, 내가 내 개인적인 윤리와 사회적인 윤리를 어떻게 바라보는 지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윤리, 철학이라는 것이 결부되면 조금은 심오하고 복잡한 느낌을 준다. 도서역시 그렇다. 어렵지 않은데 왠지 복잡한 거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진지하게 다시 읽게 만드는 도서다.
<도서내용 중>
p77. 법원 앞에세워져 있는 정의의 여신상을 본적이 있나요? 여신의 이름은 유스티티아. 라틴어로 정의라는 뜻입니다. 정의의 여신은 손에 저울을 들고 있습니다. 변호사협회의 배지에도 이 저울이 새겨져 있습니다. 한쪽 접시에는 죄, 다른 한쪽 접시에는 벌을 올려 양쪽 접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재판의 역할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의는 바로 균형을 맞추는 일이었던 겁니다,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법과 재판입니다.
p144. 행복이 무엇인지, 행복이란 어떤 것인지를 자기자신이 확실히 정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답은 스스로 만들어 내면 됩니다. 이것은 적극적인 자유입니다. 사실 행복은 주관적이라기 보다 주체적입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순간의 기분으로 행복을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보고 나는 어떤 인생을보내고 싶은지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205. 인간은 유일한 존재입니다.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도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시선은 나도 모르게 사회보다는 좀 더 익숙하고 친밀한 곳을 향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런 관계에 얽매여 있는 건 좋지 않습니다. 최대한 시야를 넓게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p248. 윤리가 단순히 옳은 것에 관한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윤리를 사람을구속하는 법처럼 느낍니다. 한편 윤리가 선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윤리는 단순한 규칙이나 법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