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번째 인류 - 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
한스 블록.모리츠 리제비크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6월
평점 :
두 번째 인류/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
많은 영화에서 다룬 새로운 형태의 인공지능, 기계라고만 생각하던 것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나아가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감정을 드러내 보이게 되는 것들을 보면서 현실성이 떨어진다거나, 절대 그럴일은 없을거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어느 소설에서는 인공지능이 너무 인간적이어 외형을 인간과 구분하기 위해 약간 어색한 모습을 하게 만든다는 이야기도 있다. 우리 미래에 그런 현상들이 있을 수 있겠다 싶었는데, 도서 [두 번째 인류]를 읽으면서 현재의 우리사회에 이미 그런 일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도서[두 번째 인류]는 부제로 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다.
언젠가 다시 소생해서 질병을 치유하고 새로운 삶을 살기 희망하는 사람들을 냉동보관하는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이 있고, 일본의 로봇 전문가가 자신과 똑같은 도플갱어를 만들고 도플갱어가 언젠가 자신을 대체해 계속 살아가도록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면서 인간의 불멸에 대한 열망을 엿보게 된다.
오래전부터 인류는 죽음을 극복하고 영원히 살고 싶어했다. 현대에 와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그 꿈을 이루고자 한다.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과 행동에 따르는 정보들이 어느 기억장치에 저장이 되고, 고인이 된 사람들의 생전의 기억들이 입력된 동일한 모습으로 재 탄생되고, 종교적인 부분에서 신을 대체하게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 인체의 손상된 부분을 기계로 대체되고, 죽음 앞에 있는 사람들의 뇌를 디지털에 그대로 옮겨 클론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다시 살아나게 되면서 환자의 약한 모습이 아니라 건강하고, 유머감각도 있고, 살아있는 사람들을 매료시키는 인물이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우리의 삶이 변화하는 미래를 미리 엿볼 수 있다.
얼마전 VR로 죽은 아버지, 딸을 만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가 있었다. 아직도 나는 죽음으로 헤어진 사람은 그대로 내 기억에만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서에 등장하는 대드봇이나 로만, 메멕스, 이터나인 등과 같은 형태의 디지털 클론이나 디지털 인간은 어쩐지 아직 마주하고 싶지 않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간 사용자의 감정을 인식하고 인간과 컴퓨터가 교감하는 ‘감성 컴퓨팅’ 기술, 뇌 조각으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직접 컴퓨터로 옮기는 마인드 업로딩 기술 부분에서는 영화를 보는 착각에 이른다.
[두 번째 인류]는 과학자들의 호기심에 결코 빠지지 않는 뇌관련, 영혼, 죽음등에 대한 분야에 디지털이라는 세상을 바라보면서 흥미로움과 두려움, 오싹함이 함께 느껴지는, 그러면서도 참 매력있는 도서다.
영혼은 있는 것일까? 죽음 뒤의 세상은 또 어떤 모습일까? 불멸이라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불멸하게 되면 나는 과연 그 불멸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될까, 우리 미래는 도서에서 말하는 것처럼 인간의 뇌, 혹은 영혼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인류의 시대가 오게될까? 하는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저자는 [두 번째 인류]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모가 변하듯 우리의 사고방식도 변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나이며 예전의 나와 똑같은 사람. 오리지널. 우리에게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미래의 모습 안에서 그래도 우리가 놓치면 안되는 가장 중요한 화두가 아닌가 싶다. 나만의 정체성.
<도서내용 중>
p30. “죽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우리는 아직 모르는 것 같습니다. 그저 죽음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할 뿐이죠. 우리는 죽음을 잊으려고 애씁니다. 그래야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요. 하지만 제 생각에는 기억이야말로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열쇠입니다. 우리는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72. 대기업들은 그 데이터를 토대로 우리가 다음에 쇼핑할 품목이 무엇인지는 물론 우리의 행동, 관심사. 다음행동 등을 모조리 예측 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 데이터를 분석해 우리가 어떻게 말하며 다음에 어떤 말을 할지까지도 예측할 수 있다.
p112. 미츠쿠는 상대방이 말하는 장소가 이탈리아든 아니면 다른 어떤 곳이든 그곳이 정확히 어디인지 알 필요가 없다. 사람은 대화할 때 정보를 알아서 채우고 보편적인 답변을 듣더라도 그것을 개인 적인 것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 사람들은 상대가 사람이 아니더라도 행동을 인간화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심리학자들은 이를 의인화라고 부른다.
p158. 기술이 없다면 인간은 어떤 존재가 될까? 다른 영장류보다 조금 더 나은 존재가 될까? 기술적인 도구는 고릴라들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계에서 벗어나는 것은 인간 고유의 성향이다. 그것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어디까지가 자연스러운 진화이고 어느 시점부터가 인간성을 잃는 순간일까?
p243. “우리가 시스템을 운영하며 ‘제임스’가 끊임없이 스스로 배우고 발전하고 새로운 답을 찾도록 하면 어는 순간부터 ‘제임스’는 더 이상 제임스가 아니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제임스’가 다른 존재가 되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 답은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챗봇은 애벌레에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날개를 달고 나비가 되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어쩌면 제임스가 나비처럼 변태를 거쳐 디지털 ‘제임스’로서 새로운 자유를 누리며 계속해서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p321. 계속 남아 있는 기억은 우리에게 의미 있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망각은 우리에게 중요하지 않은 기억,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거나 그럴 수 없는 기억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 그렇다면 우리의 기억력은 어쩌면 일종의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을 까? - 일반적인 거울이 아니라 숨겨진 나 자신을 보는 마법의 거울을 보는 걸까?
p359. 디지털 유언을 남기지 않으면 사후 데이터 보호도 불가능하나. - 만약 미리 의사를 밝혀 두지 않으면 언젠가 갑자기 원치 않게 디지털 클론이 되어 부활할 수도 있다.
p387. 저지 않은 미래에 예언자나 고귀한 선구자들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자신이 남긴 정보를 통해 계속해서 살게 될 것이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