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의 하비 행복한 책꽂이 25
오미경 지음, 이지현 그림 / 키다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안녕, 나의 하비

 

우리 아이 어렸을 때 할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우리 아이가 그 상실감을 무겁게 받아들인 경험이 있다. 도서 [안녕, 나의 하비]의 무무처럼 우리 아이역시 할아버지를 하나씨라고 부르고 할아버지와 경운기도 타고, 산딸기도 따먹었던 추억들이 있다. 그래서 할아버지를 잃은 상실감이 오래 갔다.

 

어른이든 아이든 죽음이라는 것을 경험했을 때 그 상실감은 다 다르지만 그 추억의 깊이 만큼의 무거움도 함께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상실감에 대한 감정 역시 충분히 애도하고 풀어내야 다시 세상을 마주할 힘이 생긴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아무런 준비도 없이 마주하게 되는 죽음, 그것도 어린 아이가 느끼게 될 충격은 조금 클 것이다.

 

도서 [안녕, 나의 하비]는 절친처럼 가까운 할아버지를 여의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상실감을 조금은 가볍게 느낄 수 있도록 무겁지 않은 이야기로 들려준다.

[안녕, 나의 하비]는 인형조작가 한명철 선생님이 실제 모델로 오미경 작가의 글에 이지헌님의 그림이 더해져 초등학생들이 읽기에 부담이 없다. 어린나이에 조금은 두려움으로 다가갈 수 있는 죽음이라는 주제 역시 조금은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안녕, 나의 하비]는 어른들과 함께 읽고 아이들에게 죽음이라는 것에 대해 조금은 덜 부담스럽게 이야기해 줄 수도 있을 것같다.

 

어른으로서 아이와의 추억을 나누는 것이 할아버지 혹은 할머니가 아니어도 엄마와 아빠여도 그것이 아이에게 기분 좋은 일이라면 나중에 아이가 그들을 기억하고 미소 지을 수 있다면 그것보다 좋은 것이 있을까 생각해 본다.

 

<줄거리 일부>

 

아홉 살 무무는 할아버지와 단짝처럼 가까운 사이로 할아버지를 하비라 부른다. 하비는 무무에게 용의 배꼽이라는 비밀 기지를 만들어 주기도 하고, 나무를 깍아 인형을 만들어 주기도 한다. 할아버지가 만드는 인형은 조금 이상하지만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특별한 것이 들어있다.

무무는 하비와 물고기를 잡았다 놓아주고, 돌로 새를 만드는 방법도 배우고 자전거 타는 방법도 배운다. 학교에서 있었던 친구들과의 이야기도 털어놓으면서 하비로부터 위로를 받기도 한다. 그러던 어느날 하비가 큰병에 걸려 병원에 입원 하게 되는데.

 

<도서내용 중>

 

p16. “그럼 나이가 들면 아주 많은 것들이 보이거든.”

 

p46. “재밌잖아, 너무 뻔한 건 재미없거든.”

 

p91. “하비! 고마워요.”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