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0년 12월 31일 우리학교 소설 읽는 시간
길상효 외 지음 / 우리학교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21001231

 

도서 [21001231]21세기 마지막 날 일어난 사건 4가지를 다룬 소설이다. 그렇다 소설이다. 그러나 소설이라고 치부해 버리기에는 너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소설속 [21001231]은 눈도 내리지 않고, 공기도 깨끗하지 않고, 바이러스가 인류를 두려움에 떨게 하고, 유전자 조작으로 새로운 인류를 탄생시키지만 이는 또다른 문제에 직면하고. 인간의 마인드 업로딩으로 신인류가 되고, 인간의 편의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인공지능을 가지게 되면서 인간과 유사한 형태의 또다른 진화를 하는 시대. 우리가 자연에서 보던 다양한 존재들이 자연이라는 이름의 인공적인 구조물에서만 볼 수 있게된 시대를 표현하고 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감정이라는 부분은 대체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소설속 로봇 마디다와 메이가 느끼는 감정은 어떤가?

 

인간이 발전이라는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분야에서 인간성을 지워가는지,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 속에서 과연 인간이 나아가는 방향이 옳은 것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그러나 소설속에 등장하는 현실은 우리 인류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길을 안내해 준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우리가 지금 현재에 어떤 형태의 삶을 영위하느냐에 따라 미래는 소설속 2100년과는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소설 <아무날도 아닌 날>에 등장하는 솔이에게 전달된 편지는 지금의 우리에게 전하는 편지가 아닐까?

 

2100. 그리 멀지 않은 미래를 다룬 소설이다. 각 소설 마지막에 작가들이 작품을 이해하기 쉽도록 작가의 말을 담았다. 소설에서 느끼는 불편함들을 잊어서도 안되지만 현재를 충실히 즐길 수 있어야 함을 알게 한다. 과연 우리의 21001231은 어떤 모습일까? 다음세대들에게 조금 덜 미안할 수 있는 모습이었으면 좋겠다.

 

<줄거리 일부>

 

아무 날도 아니어서

눈 오는 것도 기계조작을 통해서 볼 수 있고, 코에 필터를 끼워야만 외출이 가능한 시대. 친구사이인 솔이(엄마를 잃고 엄마의 낡은 가방에 집착한다),루이(아빠를 잃은 친구)는 아무날도 아닌 어느날 온갖 물건들이 쌓여있는 수상한 마켓 2050에 가게 된다. 이곳에서 루이가 솔이에게 새 가방을 선물한다. 이 가방에 있던 50년전 편지를 발견하게 되는데.

 

2. 멸종위기 인간

거의 모든 인간은 기계바디를 가지고 마인드만 업로딩된 신인류가 되어 살아가는 2100. 부모를 사고로 잃은 소녀는 신인류가 되기를 거부하고 구인류가 사는 섬인 M 섬으로 가는 기차에 오른다. 기차안에서 한 소년을 만나게 되어 신인류가 구인류를 강제 이주시키는 이유를 들려주며 탈출을 제안하게 되는데.

 

3. 마디다

예술인 부모님이 21세기의 마지막 날 콘서트로 집을 비우게 되면서 케어봇 서비스를 신청한다. 남매쌍둥이로 성격도 취미도 다른 아이들에게 휴먼노이드 로봇 마디다는 불편했지만 점차 마디다의 서비스에 마음을 열게 된다. 온은 마디다와 휴머노이드와의 결혼을 원하는 사람들인 러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되면서 사랑과 기억, 시간의 축적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는데.

 

4. 미확인지뢰구역

21001231일 임무 중 파손된 로봇 메이 37031을 분해하기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DMZ 근처 미확인 지뢰구역에서 기계 오작동에 관련한 미스테리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메이 37031의 기억을 업로드한 메이는 수의사 소희와 미확인지뢰구역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토종 붉은 여우를 발견하고 알수 없는 느낌을 느끼게 되는데

 

<도서내용 중>

 

p40. 우리가 질병에 대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지만 그렇다고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어요,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할거예요. - 그 시대엔 가방에 어떤 걸 넣고 다닐지 정말 궁금해요.- 그리고 부디 그곳, 그 시간이 지금보다 낫기를 간절히 바라요.

 

p75. “이름 말했으니까 모르는 사람 아니잖아.”

 

p87. 신인류가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죽을 때까지 섬 안에서만 살아야 한다, 국가에서 지급한 옷을 입고 신발을 신고 음식을 먹어야 한다. 과연 우리는 보호 받는 걸까, 통제당하는 걸까.

 

p107. 모든 것이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예술 만은 여전히 인간의 영역이었다. -너무 완벽해 사람들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했다.-연기는 완벽했지만, 그들은 자신만의 연기 철학이 없었다.

 

p139. 불꽃은 인간의 기쁨을 닮았다. 찰나의 순간 피었다가 사라지니까, 그런데 안 좋은 기억은 왜 오래갈까? 슬픔은 정말 마디다.

 



p178. 메이는 따뜻한 밀물 같은 감촉을 기억해 내고 여우들 쪽으로 손을 내밀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