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기업은 한 문장을 실천했다 - 혁신을 일으키는 기업 경영 인사이트
정강민 지음 / 넥서스BIZ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위대한 기업은 한 문장을 실천했다-혁신을 일으키는 기업 경영 인사이트

 

세계적인 흐름을 바꾼 기업과 경영천재들의 한문장

 

우리가 이름만 들으면 알만한 39개 기업에서 기업마다 가지고 있는 경영철학이 무엇인지, 리더가 어떤 자세를 가지고 있어야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성장해야 하는지를 알게 한다.

 

저자 정강민은 100개 기업에서 그들을 위대하게 만든 한문장을 찾고, 그중 문장의 메시지가 선명하고 독자에게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기업 39개를 선별했다고 한다. 우버, 알리바바, 다이슨, 나이키 등 기업의 출발, 성장과정, 창업자의 인터뷰 등을 통해 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준다.

 

[위대한 기업은 한문장을 실천했다]는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관별로 7개로 분류하고, 기업마다 추구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그 핵심이 기업을 성장하게 만드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설명한다. 창업자가 가진 가치관을 중심으로 경영노하우, 그들의 실행력,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까지 두루 다루었다.

 

리더의 사고가 어떠하느냐에 따라 기업이 성장하고, 그 기업에 소속된 직원들이 얼마나 만족하는 삶을 사느냐가 달라진다. 즉 리더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직원들이 실수를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생각을 많이 하게 한다.

 

기업은 이윤창출이 목적이다. 더 많은 이윤창출을 위해 각 기업마다 사훈을 두기도 한다. [위대한 기업은 한문장을 실천했다]에 나오는 기업들 역시 이윤창출을 위한 기업활동을 한다. 그러나 도서에 나온 기업들은 이윤창출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를 생각하고, 함께 하는 직원을 생각하고, 고객을 생각한다.

도서에서 다룬 기업들, 그리고 그들의 리더를 바라보면서 기업을 경영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에 그 방향성을 안내해 주기에 충분하다. 39개의 기업의 리더 하나를 선택해 그 리더의 실행력을 따라가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난 개인적으로 자기 확신이 강했던 스티브 잡스.

 

<도서내용 중>

 

p28. 마원은 70,80세가 되었을 때 손주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한다. ‘얼마나 많은 것을 얻었느냐보다 얼마나 많은 일을 겪었는지가 중요하다,’‘인생의 풍요로움은 성과보다 많은 시련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성찰에서 나온다.’-알리바바

 

p37. 직원이 새로운 실험을 하고, 그 과정에서 실수하는 건 언제나 환영이다. 거기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새롭고 더 나은 방법을 찾는 것-다이슨

 

p115.“우리가 다른 행성에서 살 수 없다면 저로서는 굉장히 실망스러울 것 같아요. 저는 인류를 구제하는 사람이 되려고 하는게 아닙니다. 단지 미래를 생각했을 때 슬프지 않았으면 할 뿐이죠.”-일론 머스크

 

p200. 제프는 일이 끝나고 나면 사후 검증을 장려했다. 무엇이 잘 되었, 무엇이 미흡했는지, 발생된 실수나 잘못된 방식으로 인해 무엇을 배웠는지 등을 확인했다. -링크드인

 

p222. 타고난 약점은 오히려 삶을 더욱 강하게 해주는 밑천이 되며, 모든 운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들어가야 한다-마쓰시타

 

p287. 사무실 직원들이 보통 고급인력이지만 시네갈은 돈은 매장에서 버는 것이며 따라서 사무직원보다 매장 현장에서 일하는 직원을 왕처럼 대해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코스트코 시네갈

 

p337. 자신도 확신하지 못하면서, 구성원에게 열정적인 말로 포장한다고 해서 절대 직원들의 마음 깊은 동의를 얻어낼 수 없다. 잡스는 자기 주장에 가장 먼저 강력한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직원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자기 확신은 무엇가를 의도하고 그것에 대해 긴 숙고의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스티브 잡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위대한기업은한문장을실천했다#정강민#넥서스BIZ#경영전략#경영혁신#창업#인적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