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는 비밀이 없다
우샤오러 지음, 강초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우리에겐 비밀이 없다/

 

쉽지 않은 소설이다. 그렇다고 멈출 수가 없다. 우신핑이 감추고 있는 비밀들이 무엇일지, 그 주변 인물들이 감추는 일들은 또 어떤 비밀이 있을지. 따라가야만 한다. 마지막까지.

 

미스터리한 이야기 속에는 우리가 무시하고 넘기면 안되는 사회문제들이 등장한다. 우신핑이 외부로 드러낸 성폭력 사건을 들여다 보면서 나는 무척 조심스러웠다. 많은 매체들에서 무고, 피의자와 피해자가 바뀌는 일들을 종종 접하다 보니 이제는 어떤 사건을 접하게 될 때는 굉장히 신중해 진다.

사건의 본질을 살피는 데에는 편견이 없어야 하나 아직까지도 여성에 대한 조심성에 대한 부분을 집착처럼 강조하게 된다.

 

소설 [우리에게는 비밀이 없다]는 우리 사회에서 드러내기 조심스러운 사건을 미스터리와 완벽하게 조화를 시켰다. 출생의 비밀부터, 등장인물들 마다 각자 그들만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우신핑의 행적을 따라가면서 알게 되는 사실들. 그 사실들 속에는 또다른 많은 연결고리들이 있다. 그리고 그 사건의 마지막은 충격적이다.

 

아직도 성에 관련된 범죄에 대해서는 피해자 입장에서는 너무 조심스럽고 밖으로 표출 되는 것 자체가 죄의식을 동반한다. 피해자를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 역시 곱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에 피해자가 자신의 피해사실을 신고하는 것 자체가 힘든 일이다. 소설에서는 성폭력에 노출되는 아이들이 청소년이다. 아직 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도, 성정체성도 깨닫지 못한 시기에 있는 아이들이다. 그들이 겪는 사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오랫동안 트라우마로 그녀들을 놓아주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비밀이 없다]는 읽는내내 걱정, 조심스러움, 그리고 마지막에는 안타까움이 함께 한다. 소설 속 인물들이 마음속에 짐을 어느정도 덜어내듯이 우리 사회에 비슷한 상처가 있는 이들 역시 마음속에 깊이 새겨진 상처들이 아물기를 바래본다.

 

<줄거리 일부>

 

변호사인 판옌중은 전부인을 폭행했다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이혼을 했다. 이후 학원강사인 우신핑과 결혼 후 딸과 평범한 가정을 이루고 있다. 어느날 우신핑이 사라졌다. 판옌중은 우신핑의 흔적을 찾아 다닌다. 아무 비밀이 없다고 생각한 우신핑은 과거 성폭력 피해자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녀가 감추고 있던 비밀들이 하나씩 드러나게 되는데.

 

우신핑은 친구오빠로부터 강간을 당했음을 신고하고 법정까지 가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피의자측과 합의를 하게 된다. 이후 그녀는 과거와 단절한 채 타지역에서 학교를 졸업한다. 우신핑은 아픔을 호소하는 오드리, 즈싱이라는 친구를 만나 함께 살게 되지만 즈싱이 우신핑에게 집요한 집착으로 인해 우신핑은 사라져 버린다. 그러나 반년에 한번씩 오드리와의 만남을 이어간다. 만남을 약속한 시간에 우신핑이 나타나지 않자 오드리는 판예중이 우신핑에게 어떤 위해를 가하지 않았는지 의심을 하게 되고 판예중의 뒤를 밟기 시작한다. 이후 드러나는 우신핑의 과거에는 거대한 사건들이 존재하는데...

 

<도서내용 중>

 

p107. 나이가 들면서 내가 알게된 사실이 있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아빠와 엄마를 포함해서 모두 비밀을 품고 있다는 것이었다.

 

p111. 비밀이란 그런 것이다. 비밀의 존재를 숨기고 없는 척할수록 그 비밀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다. 어디를 가도 그 비밀이 따라온다. 시간이 쌓이면서 그 비밀을 지키고 싶기도 하고 없애버리고 싶기도 한 두 가지 생각이 끊임없이 경쟁을 벌이며 우리를 기진맥진하게 만든다.

 

p225. 자기가 한 일에 대한 대가는 스스로 짊어져야 한다. 간단한 논리다. 우리는 남아있는 절반의 시험지를 마저 풀어야 한다. 지금부터, 영원히.

 

p269. 자기 일 일때는 맞서 싸울 용기를 내지 못하고, 타인의 일에 대해서는 분가 탱천해서 날 뛴다. 나중에는 자기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도 분별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맞서다 아수라장이 된다.

 

p299. “선생님, 제가 낯선 사람에게 얻어맞았다면 지금처럼 몇 번씩이나 신고하지 말라고 하셨을까요?”

 

p308. 세상의 많은 일들은 진실을 알고 나면 그 반대편에 있는 것들을 잃게 되기도 한답니다.

 

p423. 오드리는 자신이 린 선생님을 사랑했다는 걸 인정했다. 다만 한 사람을 사랑한다고 해서 이렇게 많은 책임을 짊어져야 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우리에겐비밀이없다#우샤오러#강초아#한스미디어#추리소설#미스터리소설#중국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