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인의 우주 살기 - 달 기지부터 화성 테라포밍까지, 과학자들의 지구 이전 프로젝트! 인싸이드 과학 1
실뱅 채티 지음, 릴리 데 벨롱 그림, 신용림 옮김 / 풀빛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지구인의 우주살기/실뱅채티/릴리데벨롱/풀빛

 

달 기지부터 화성 테라포밍까지, 과학자들의 지구 이전 프로젝트!

 

[지구인의 우주살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역사를 시작으로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게 된 기간. 그리고 지구라는 행성에서 벗어나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려고 하는 다양한 이유를 쉽게 설명하고 있다.

 

지구 뿐만 아니라 현대과학자들의 관심으로 등장하는 행성들에 대한 인간이 살 수 있을 조건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엿보인다.

 

태양계는 지구를 포함해 여러 행성들과 왜소행성, 해성, 유성체등이 있다. 우리에게 친근하게 등장하는 수성, 금성, 목성, 토성등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아 인류가 정착하기 쉽지 않다. 이로인해 화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성은 과거 지구환경과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인류이주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구가 생긴이래 다섯 번의 대멸종이 있었고, 우리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 사용하게된 원료에서 발생한 공해, 온실가스 등으로 기후위기에 봉착해 있다. 구지 다른 행성과의 충돌까지 생각하지 않아도 여섯 번째 멸종이라는 위기를 감지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미래 지구가 황폐화되거나 폭발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다른 행성으로 이주해야 된다는 생각에 인간이 거주 가능한 행성으로의 탐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달탐사를 시작으로 금성, 수성, 목성 등 우주탐사에 대한 국가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이제는 민간기업에서 우주탐사나 우주여행을 시행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아직 인간이 옮겨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을 찾지는 못했으나 조만간 찾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어진다.

 

행성을 지구와 같은 조건으로 만들기 위한 테라포밍이라는 기술은 대기, 온도, 표면, 생태를 인위적으로 지구와 유사한 환경으로 만드는 것으로 우리가 많이 접했던 우주를 배경으로 한 SF영화를 보는 듯 하다.

마지막 장에 나오는 한미래인의 추리: 지구를 테라포밍하려온 생명체를 다룬 에피소드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지구라는 행성에서 잠시 머물러야 하는 인류는 지구를 지키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는 편리함만을 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인류의 문명발달은 분명 편리함을 가져다 준다.

현대에 많이 다뤄지는 지구온난화, 코로나 등 다양한 바이러스의 탄생,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등을 바라보면서 우리는 우리가 잠시 머물게 된 지구에 대해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지구인의 우주 살기]는 우주개발 이슈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준다.

우주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이라면 흥미롭게 책을 읽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도서내용 중>

 

p27. 바로 우리가 별들의 집합체, 먼지, 항성에서 떨어져 나온 잔재의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놀라운 사실은 우리가 태양이 태어나기도 훨씬 전에 죽은 거대한 항성에 희해 만들어진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의 원자 나이는 45억년을 훌쩍 넘었다.

 

p41.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번 대멸종은 지구 생명체 역사상 처음으로 동물 종(인간!)에게 책임이 있다는 사실이다.

 

p142. 인간은 다른 행성에서 지구의 모든 환경조건을 재창조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다가 두가지 사실을 깨닫는다. 인간이 매우 연약한 존재라는 것과, 그럼에도 거대한 화산활동이나 기후 영향 같은 위기에 적응하는 능력을 갖췄다는 것이다.

 

p193. 인간이 과거의 실수로부터 어떤 깨달음도 얻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실수를 깨닫지도 못한채로, 뻔뻔하게 지구에서 했던 착취라는 실수를 다른 행성에서도 되풀이 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지구인의우주살기#달기지부터화성테라포밍까지#과학자들의지구이전프로젝트#실뱅채티#릴리데벨롱#신용림#풀빛#청소년수학#청소년과학#우주개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