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뱅하민 라바투트/노승영/문학동네

 

물리영웅들의 이야기다.

그런데 읽다보면 이게 소설이라고? 하는 의문이 든다.

그래서 소설을 소개하는 페이지를 다시 살폈다. 분명 소설이라고 안내한다.

소설의 내용은 전쟁과 화학, 물리학, 우주, 수학 등에서 우리가 익숙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더구나 인물들이 펼치는 배경들이 너무 사실적이다. 작가는 치밀한 자료조사를 하고, 진실에 허구를 더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소설은 물리에 관한 과학책을 읽고 있다는 착각에 빠진다. 아인슈타인이 등장하고, 프리츠하버, 슈뢰딩거와 드브로이, 하이젠베르크 등 다양한 과학자의 이름이 등장한다.

 

소설은 총 5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졌다. 프러시안 블루, 수바르츠실트 특이점,심장의 심장,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밤의 정원사.

 

우리가 예전에 읽던 위인전에 나오는 과학자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도전하는 분야에 호기심과 끈기로 과학의 발전을 이룩했다로 마무리 된다. 그러나 소설에는 어쩌면 집착에 가까운 광기가 보인다. 이러한 것들이 과학자들이 자신이 오롯이 원하는 것들을 밝혀낸 것이겠지.

 

과학의 발전이라는 밝음 뒤에는 인류에게 해악을 끼치게 되는 어두움이 존재한다. 극단적으로 프로시안 블루에 쓰인 푸른색의 안료가 전쟁에 화학전이라는 무서운 전쟁무기로 쓰여지고, 더 많은 생산을 위해, 인류를 위한다는 이유로 사용되어지는 비료로 인해 너무 많은 생산이 이루어지고 결국 인류에게 이를 극복하지 못하게 되는 어두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안에 그들의 고뇌하는 모습들은 우리가 그들의 내면을 이해해 주었으면 하는 건 아닐까? 소설은 과학이라는 소재를 통해 우리에게 수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이건 픽션이야 하는 착각에 빠진다. 그러나 소설이다.

 

 

<줄거리 일부>

 

프러시안 블루: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같은 그림에 쓰이는 원료가 히틀러의 아우슈비츠의 학살용 독가스로 사용된다. 전쟁의 참혹함과 히틀러를 비롯한 전쟁광들의 광기가 고스란히 느껴진다.

 

슈바르츠 실트 특이점: 상대성 이론을 풀어낸 사람이 아인슈타인이 아니고 슈바르츠실트. 그는 1차대전에 참전하고 피부병에 걸려 죽어가면서도 과학에 대한 이론을 전한다. 우주에 대한 상대성 이론을 풀어내는 과정이 묵직하다.

시공간이 단지 휘어지는게 아니라 찢어진다

 

심장의 심장: 우리의 지적 진화를 앞당기기 위해 태양계의 외계문명에서 지구로 파견된 사람과 같다고 일컬어지는 수학천재 알렉산더 크로텐디크,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과학(수학)의 발전을 노심초사 한다.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슈뢰딩거와 하아젠베르크 라는 두 천재가 각자의 방식으로 불확정성 원리의 이론을 정립한다. 하이젠베르크는 슈뢰딩거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춘 것을 용납할 수 없는 뒷걸음질로 표현한다.

 

밤의 정원사: 지금 우리의 이 세상이 어떤 위기에 있는가를 고민한다. 지금까지 나온 소설에서 등장한 이야기들의 결말에 다다른다.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가뭄과 질병, 해충, 균류, 역병으로부터 살아남으면 열매를 너무 맺는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도서내용 중>

 

p42. 무수한 사람들의 직간접적으로 관여했기 때문이 아니라 공기중에서 질소를 뽑아내는 자신의 방법이 지구의 자연적 평형을 무지막지하게 교란하는 바람에 인류가 아니라 식물이 세계를 차지할까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p66. 전략적 가치가 없는 도시들은 마치 한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지도에서 사라졌다. 잔학행위는 어떤 전쟁 논리도 따르지 않았다. 양편 중 어느 쪽에 책임이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을 때도 많았다.

 

p178. 모든 피조물 속에는 숨겨진 미지의 무한한 지성이 잠자고 있으나 이것은 깨어나 감각적 정신의 무상한 그물을 찢고 육신의 번데기를 부숴 시간과 공간을 정복할 운명이다, 슈뢰딩거는 이것이 오랫동안 자신의 생각을 사로잡은 것과 같은 개념임을 알아차렸다.

 

p200.“참으로 아름다운 이론이다. 인류가 발견한 것 중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하고 우아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뭔가 기이한 구석이 있다. 마치 우리에게 이렇게 경고하는 듯하다. 자신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말라고. 내가 보여주는 세상은 당신이 나를 적용하면서 생각하는 세상과 같지 않다고

 

p225. “우리 시대의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객관적이고 초연한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벌어지는 게임의 행위자로서의 우리가 자연과 맺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p227. “신은 우주를 놓고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소!”

 

 

#우리가세상을이해하길멈출때#뱅하민라바투트#노승영#문학동네#외국소설#2021부커상후보작#버락오바마추천#2021올해의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