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3세 대해부 - 매경 기자들이 현장에서 전하는 주요 그룹 오너 3세 이야기
매일경제 산업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대한민국이 건국된 이후 지금까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발전을 이루어왔다. 거기에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었겠지만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회사들의 공 역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물론 그런 회사들은 그 과정에서 많은 혜택을 받아온게 사실이지만 말이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고 있는 삼성이나 현대차, 롯데, LG 등 대기업들은 대부분 최초의 창업주 시대를 거쳐 그 2세들이 이끌고 있다.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나 현대차의 정몽구 회장 등이 그러한 것이다. 하지만 10,20년 뒤에는 이들은 모두 뒤로 물러나게 되고 3,4세들이 회사를 이끌고 있을 것이다. 우리가 TV 드라마에서 자주 접하는 소위 재벌 3,4세들이 앞으로의 한국 경제를 어떤 방향으로 만들어갈지가 중요한 것이다. 과연 그들은 정말 TV속 드라마와 같은 모습일지 궁금해졌다.  

 

물론 그들 재벌가 3,4세들의 사생활을 일일히 알 수는 없다. 이 책에서는 재계 3,4세 경영시대를 각 기업이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모두가 그런것은 아니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재벌 3,4세하면 금숟가락을 물고 태어난 사람들이라고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내곤한다. 그들이 평범한 집안에서 태어난 사람들과 비교했을때 많은 혜택을 보며 성장한 것은 맞다. 하지만 그들이 드라마 속 처럼 아무런 준비없이 단순히 회장 아들 손자라는 이유로 회사 사장에 취임하는 것이 아니라 차근차근 과정을 밟아가며 경영수업을 받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었다. 물론 그것도 일반인과 같은 말단 평사원부터 시작하는 경우는 아니지만 말이다. 책을 보고 있자니 각 기업마다 조금씩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 과정을 통해 자신들만의 기업 문화를 익히게 하고 개개인의 능력을 향상 시키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우리나라 내에서 경쟁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글로벌 시대이다보니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노력이 더욱더 필요한 것이다. 거기에는 기업을 이끌어가는 리더의 마인드가 중요할 것이다. 지금 현재 경제계를 이끌고 있는 기업들이 몇 십년 뒤에 어떤 모습일지는 누구도 알 수가 없다. 지금은 누구나 알아주는 기업이지만 리더의 잘못된 판단과 착오로 인해 기업이 서서히 무너져갈 수도 있는 것이고 반대로 지금은 보잘것 없는 기업이지만 리더의 뛰어난 능력과 판단으로 인해 세계 일류 기업으로 성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만큼 리더는 막중한 임무를 가지고 있고 그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기위해서는 지금의 현실에 안주하지않고 끊임없는 자기성찰이 따라야하는 것이다. 삼성의 이재용이나 이부진, 현대차의 정의선, 신세계의 정용진 등의 재벌 3,4세들이 이끌어갈 미래의 대한민국 경제가 궁금해진다. 그들은 선조들의 후광이 아닌 자신들의 능력을 통해 회사를 이끌어가야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먼훗날 내려지게 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6-28 0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