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 풍경과 함께 한 스케치 여행
이장희 글.그림 / 지식노마드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서울은 조선왕조가 도읍을 송악에서 한양으로 옮긴 이후 지금까지 600년 이상 이 땅의 중심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답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가 서울에 집중되어있고 그래서 터질거 같은 거대한 도시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서울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서울이란 도시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싶다. 이 세상이 워낙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도 하지만 또한 서울이란 곳은 워낙 복잡한 곳이라서 실제도 서울에 산다고 하더라도 서울의 참모습을 모두 알기란 쉽지 않을거라 생각한다. 서울이 아니라도 자기가 사는 동네만 벗어나 익숙지 못한 곳에가면 이곳이 어딘가 싶은데 서울같이 복잡한 도시라면 더욱더 그렇게 느껴지리라 본다. 특히나 조선왕조의 도읍이었기에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곳이 많을 것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러한 것들이 잊혀지는거 같아 안타깝다.
이 책은 서울의 주요 지역들을 저자가 직접 그린 그림과 글로써 이야기한다. 그냥 현재의 모습만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그곳의 과거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더욱더 흥미롭게 느껴진다. 특히나 저자가 그린 그림들은 정말 인상적이다.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지나쳤을 곳을 그림으로 보고 있자니 색다른 느낌이다. 이렇게 서울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복잡하고 삭막한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오히려 서울이란 곳이 고풍스럽게 느껴지고 이곳이 조선의 수도로써 번창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아픈 역사를 안고 있는 곳이라는 걸 다시한번 알게 된다. 저자의 그림을 보고 있자니 그때 내가 저앞을 아무생각없이 지나쳤었는데 이 건물은 이런 이야기를 가지고 있고, 저 건축물은 또 저런 이야기를 안고 있으며, 그 나무는 그런 사연이 있었구나 싶었다. 그동안 내가 알고 있었고 느꼈던 서울이란 도시의 이미지와는 또다르게 다가오고 있었고 정겹게 느껴졌다.
서울 곳곳에는 우리조상들의 피와 땀이 고스란히 묻어져있다. 다만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할 뿐이었고, 별다른 관심없이 지나쳤던 것이었다. 우리는 우리 선조들이 물려준 유산들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나 책 중간쯤 숭례문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서 가슴이 아팠다. 국보 1호라는 칭호를 달고 있는 그곳을 우리는 지켜내지 못했다. 조선 건국때 지어졌다는 수도 한양의 얼굴이었던 그곳조차 지키지 못한 우리가 우리 역사를 우리 유물을 지킬수 있을지 모르겠다. 최근 일본이 독도 문제를 다시 거론하는거 같던데 이 땅을 사랑했고, 이 땅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많은 선조들은 지금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후손들을 어떻게 지켜보고 있을지 모르겠다.
이 책을 보고나니 책 속에서 보여진 곳들을 지나게 되면 새롭게 느껴질거 같다. 예전같았으면 아무런 감흥없이 그냥 스쳐지나갔겠지만 눈길이 한번이라도 더 갈것이고 좀더 세심하게 쳐다볼거 같다. 서울에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많은 것들이 있다. 그것은 짧은 시간에 만들어진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전통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것을 우리는 기억해야하고 지켜야한다. 그것은 빛바랜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흔적이요, 앞으로 살아갈 후손들의 흔적이 될 것이다. 서울의 시간은 지금 이 순간에도 흘러가고 있다. 그 시간은 영원히 멈추지 않고 흘러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