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읽는 삼국지
장연 편역, 김협중 그림 / 김영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지'는 우리나라의 고전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접한 책이 아닐까 싶다. 인터넷 서점에서 삼국지를 검색해보면 수많은 종류의 책이 나와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우리나라 이야기도 아니고 중국의 후한 말기 100여년의 혼돈기를 이야기하는 이 책이 어떻게 이렇게 많이 읽힐수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그 시기가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도 아니고, 어느 나라던지 망하려고 하는 무렵에는 이곳저곳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마련이고 권좌를 차지하기위해 다투는것은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데 말이다. 그러고보면 삼국지연의를 써낸 나관중이 대단해보이기도 한다.

 

내가 삼국지를 처음 접한것은 초등학교 저학년때였던거 같다. 어느날 어머니께서 5권짜리 삼국지 책을 사오셨고, 그때부터 삼국지는 나와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그 후로 지금까지 수없이 삼국지를 읽어온거 같다. xxx 삼국지라고해서 베스트셀러로 읽히는 삼국지 전집은 물론이고, 각종 만화로 된 삼국지를 비롯해 지금까지 읽어온 횟수를 세어보면 100번은 족히 되지 않을까 싶다. 수많은 종류의 책으로 접한 삼국지인데 특히 중학교 1학년때 보았던 50권짜리인가 60권짜리인가 만화로 된 삼국지가 기억난다. 한 친구가 학교에 그 책을 가져오면 서로 먼저보려고 다투기도 했으니 말이다. 또한 삼국지는 책으로뿐만 아니라 게임으로도 익숙하다. 특히 내가 즐겨했던 삼국지 6,7은 지금도 내 컴퓨터에 깔려있다. 그만큼 삼국지는 나에게 익숙한 이야기인 것이다.

 

이번에 만나게 된 이 책은 제목만 봐서도 알 수가 있듯이 방대한 스토리를 한 권의 책으로 압축해놓고 있었다. 나같은 경우 삼국지는 언제 읽어도 시간이 가는줄 모를정도로 흥미진진하게 읽곤 하는데 지겨워서 못읽겠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책이 좋지 않을까싶다. 물론 한 권이긴 하지만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기에 부담스럽게 느낄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이 정도는 읽어줘야하는게 아닌가 싶다. 과연 이 책은 영웅호걸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펼쳐내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대부분의 책들이 그러하듯 이 책 역시 유비, 관우, 장비가 만나서 의형제를 맺는 도원결의부터 시작하고 있다. 삼국지가 유비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기에 그러하다. 이 책이 여타 다른 삼국지 책들과 다른 점이 있는데 각 장이 끝날때마다 '삼국지 깊이 읽기'라고 해서 본문의 내용을 해석하는 것이다. 1장이 끝나면서는 도원결의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는데 실제로는 도원결의가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한다. 그것은 유비, 관우, 장비 세 사람의 각별했던 우정을 토대로 만들어진 민간 전설이며, 이것이 소설 삼국지에 실렸다는 것이다. 이 책이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하긴 했지만 구체적인 이야기들은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원래 소설이란게 그런것이니 말이다.

 

삼국지라는 제목이 보여주듯이 이 책의 큰 줄거리는 위촉오 세개의 나라가 천하를 삼분지한 상태에서 자웅을 겨루게 되고 진나라로 통일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나타난 수많은 영웅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속에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들이 나타나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인 이기심이 잘 드러나있고, 상황에 따른 처세술과 부하와 백성들을 이끌어나가는 리더십이 담겨져 있다. 그때 그시절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모습은 비슷한거 같다. 어차피 인간의 본성은 시간이 흐른다고 하더라도 쉽게 변하는 것이 아니니 말이다. 아마 애초에 인간은 그렇게 만들어진게 아닌가 싶다.

 

500페이지의 제법 두께가 있는 책이었지만 술술 읽어나갈 수가 있었다. 다만 한 권으로 압축하다보니 빠진 부분이 많을수 밖에 없는거 같다. 물론 큰 줄거리는 잡을수가 있지만 좀더 많은 이야기를 접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전집으로 된 책을 보는게 좋을 거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왜 삼국지가 시간이 흘러도 수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는 베스트셀러인지 충분히 느낄수가 있는거 같다. 삼국지는 과거의 역사이지만 그 시대의 사람들의 모습속에서 지금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수가 있으니 말이다. 역시나 삼국지는 나에게 최고의 책임에 틀림없는거 같다. 삼국지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 책을 통해 한번 접해보는 기회를 가져보길 바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20-04-19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00page 면 짧고 아쉽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