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빅터 -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레이먼드 조 지음, 박형동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Be Yourself(너 자신이 되어라)
빅터와 로라. 그들의 인생은 어린시절부터 좋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그것도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서 말이다. 빅터는 이 책의 제목 그대로 바보라고 놀림받으며 성장했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 빅터는 점점 움츠러 들었고, 작아질 수 밖에 없었다. 로라는 가족들로부터 못난이라고 불린다. 그 말은 로라의 삶 자체를 못난이로 만들었다. 항상 자신은 못난이라고 자책하고 있었고, 외모 콤플렉스를 심하게 겪고 있었다. 둘은 다른 사람과 적극적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들이 자신들의 꿈조차 제대로 펼칠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바보, 못난이라고 불리는 이들에게 대다수의 사람들은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멸시하고 있었으며 빅터와 로라 역시 자신들을 둘러싼 거대한 벽에 가로막혀 있었다.
이들이 자기 자신을 알게 된데에는 레이첼 선생님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빅터가 학창시절 모든 선생님과 주위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받을때 유일하게 그를 칭찬했던 레이첼 선생님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면서 빅터와 로라가 자신의 재능을 살릴수 있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빅터와 로라는 바보가 아니었고 못난이가 아니었다. 다른 사람들이 쳐놓은 편견이라는 덫에 의해 오랜시간 고통을 받아왔지만 그 덫으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그들의 인생은 변화를 겪게 된다. 결국 바보라고 놀림을 받던 빅터는 국제멘사협회의 회장이 되었고, 로라는 인기 동화 작가가 된 것이다. 아주 견고하게 쌓여서 결코 무너질거 같지 않던 편견의 벽은 남들이 쌓아놓은 것일수도 있고, 자기 자신이 쌓아놓은 것일수도 있다. 하지만 그 벽을 무너뜨리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 빅터와 로라는 결국 그 벽을 무너뜨리는데 성공한 것이다.
우리는 삶을 살면서 수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그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다른 이들에게 상처를 남기곤 한다. 상처를 준 사람은 뭐 그런걸로 상처를 입을까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로인해 누군가는 평생 쓰라린 고통을 겪고 있을수도 있다. 빅터와 로라처럼 말이다. 나 역시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준 경우가 많이 있었을거라 생각한다. 지금 생각나는 것은 고등학교때 만난 친구가 했던 말이다. 그 친구와 나는 초등학교를 같이 나왔는데 그 당시에 "좋나, 좋다"를 외치며 테니스 공을 주먹으로 쳐서 야구 형식으로 베이스를 돌아 점수를 내는 게임을 많이 했었다. 당시 나는 반에서 축구나 피구, 야구 등 각종 놀이에서 리더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그 친구에게 왜이렇게 못하냐고 구박을 했다는 것이다. 나로서는 그런 기억이 남아 있을리가 없다. 고등학교 가을 소풍때 공터에서 그 게임을 다시하게 되었을때 그 친구가 그렇게 말하면서 당시에 상처를 많이 받았었다고 하는데 정말 미안했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예기치않은 말과 행동으로 다른 이에게 고통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보면서 다시한번 느끼게 된다.
사람은 누구나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 잠재력을 어떻게 발휘하느냐는 결국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경우는 드물다. 여러가지 제약들로 인해 그 잠재력을 펼칠 기회를 만들지 못하니 말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자신감과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다. 자기 스스로가 안될거라고 먼저 낙담하고 좌절해서는 결코 감추어진 날개를 펼치지 못할테니 말이다. <마시멜로 이야기>와 <마시멜로 두 번째 이야기>를 펴낸 호아킴 데 포사다는 이번에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쳐내고 있었다. 그의 이야기는 남녀노소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꿈>, <희망>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만들어주고 있다. 이 책을 보면서 나에게도 숨겨진 날개가 분명 있을거란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 날개를 펼칠수 있느냐 없으냐는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 역시 알고 있다. 나 자신을 사랑하고 나 자신을 믿으며 자신감을 가지고 내가 꿈꾸는 길을 향해 나아가야겠다. 그 길 끝에서 미소를 짓고 있을 내 모습을 상상하며 말이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지닌 사람도 자신을 과소평가하면 재능을 펼치지 못합니다. 자신이 말굽밖에 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말굽밖에 되지 못하고, 바보라고 생각하면 진짜 바보가 되는 것입니다. 해보지도 않고 절대 자신의 능력을 제단하지 마십시오. 자신을 믿으십시오. 스스로를 위대한 존재라고 생각하십시오. 그러면 행동도 위대하게 변할 것입니다. - P. 198,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