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조선에 뿌리박힌 사상이다. 유교를 학문으로 공부하는 유학, 모든 양반이라면 태어나, 글자를 깨우치는 시기에 유교경전을 하나 둘 읽으며 그에 세뇌된다. 공자와 맹자가 말했던 유교라는 게, 주자학으로 변질되고, 그 마저도 조선에서 또 변질되었다. 유교를 수 많은 차별과 멸시의 명분으로 삼았다. 그 중 제일가는 차별은 바로 신분제 차별, 남녀 차별 그리고 새로운 문물에 대한 차별이다.



글자깨나 읽고, 유학을 공부한다는 자들은 정작 중요한 사실에는 눈 감았다. 그들은 조상의 묫자리가 중요했고, 죽은 자의 시를 외우는데 급급했으며, 한자에 점이 몇개 찍혀있는지에 대한 토론에 열을 올렸고, 자신들이 만든 신분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데 열을 올렸다. 그리고 무엇보다 게을렀다. 양반들에게 노동은 상놈들이나 하는 행위였으며, 본인들은 오로지 공맹을 외는 게 도리라 생각했다. 이게 바로 조선 말, 유학자의 모습이다.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을 말한지 오백여 년이 지났것만, 조선은 오백년 전이나 후나 다를게 없었다. 오백년이 지났지만 조선의 양반네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않았고, 유학을 제외한 모든 학문을 천시하며 역모죄로 몰아넣었다. 그들이 계속 유학을 고집하며 나라의 문을 꽁꽁닫은 댓가는 참으로 참혹했다. 그들이 끈임없이 유지하려 했던 신분제, 본인들만 향유하려 했던 문자, 중국에만 사대하는 유교, 이 모든 게 어우러져 조선은 지식적으로도, 자본적으로도 하향평준화가 된 것이다.

이들의 말을 들어보면 공자께서는 Anja(원문표현; 안자)에게 극도로 청빈한 삶을 살 것을 명하셨는데, 청빈한 삶 속에 도의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이었다. 공부를 많이 한 조선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어떠한 동요나 관심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어떤 한자를 쓸 때 점을 두 개 찍는 게 맞는지, 네 개 찍는 게 맞는지 하는 문제는 너무나 중요해서 모든 이들의 관심을 단번에 집중시켰는데, 이놈의 글자 모양이 뭔지 원래 논의하던 주제나 글자가 지닌 뜻은 완전히 잊히기 십상이었다. - P31

갑자기 모퉁이에서 멋을 부린 퉁퉁한 두 양반과 마주친 것은 모든 조선 사람들에 대해 감사한 마음이 나를 뒤덮고 있던 때였다. 그들은 나를 아주 얕잡아 보면서 ‘너 같은 짐승이 사는 우리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를, 또 ‘내가 어디로 기어가고 있는 중인지’를 물었다. 순간 혈압이 올랐고, 나를 이렇게 불러 세운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그들은 내가 이렇게 대응하는 것이 신나는지 새로운 놀림감이 생겼다고 좋아하는 것 같았다. - P148

우리가 대답하자 그는 놀란 눈빛을 보내며 "여기에서 보면 어느 쪽에 나리들의 나라가 있나요?"하고 되물었다. 우리가 지구 중심을 가리키자 원님은 아주 큰 충격에 빠졌고 혹시 우리가 땅속에 사느냐고 물었다. 우리는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우리가 사는 곳은 지구 반대편 쪽이라고 설명했는데, 이것은 그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완전히 넘어버리는 것이었다. 결국 그는 급히 주제를 바꿔 안전하게 배웅해줄 테니 얼른 마을을 떠나라고 했다. - P180

서양에서는 한 사람 앞에 펼쳐질 삶을 대비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지만 조선사람들에겐 이러한 생각이 없었다. 그들은 현재에 눈 감고 과거만 바라보고 살도록, 한 사람의 정신을 개조하거나 압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우리는 발전을 생각하지만, 그들은 통제를 생각한다. 서양의 학생은 다양한 학업 성취화 새로 알게된 갖가지 것에 기쁨을 느끼지만, 조선 사람들은 무엇을 배워 안다는 것보다 단지 한자를 읽고 쓰는 것에서만 성취를 느꼈다. - P230

관찰사 양편으로는 부하들이 쭉 늘어서 있었다. 관찰사는 질문을 한두 개 던졌는데 내가 기억하기로는 이런 것이었다. 우리나라에 애꾸눈 부족이 살고 있느냐? 아니면 모든 사람에게 눈이 두 개씩 달려있느냐? 서양 사람들은 이빨을 아무 때나 뽑았다가 다시 집어넣었다가 할 수 있다는데 과연 사실이냐? 이 외에도 인종학적, 과학적 질문이 이어진 후 면담은 끝이 났다. - P220

어떠한 것이든 예를 공고히 하는 것에 방해가 되는 것은 피해야 했고, 이러한 이유로 양반은 그 누구도 육체노동을 하지 않았다. 사실상 어떤 종류의 노동도 하지 않았는데, 양반의 삶은 상놈의 일을 지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상놈들은 모든 명령에 복종했다. - P237

이렇게 부르는 게 정당한지 부당한지는 몰라도 ‘나라의 병폐’라고 일컬어지는 서울의 지체 높으신 양반들은 이미 이런 외국 바람에 깊이 빠져 돈을 흥청망청 써대고 있었고, 세금을 내는 상민들은 입 쓴 비판을 쏟아냈다. (중략) 나라의 제조, 유통산업의 몰락과 더불어 발생한 최근의 이런 사치행각들은 조선 사람들을 역사에 길이 남을 절망적인 지점까지 몰아넣고 있었다. - P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