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1 : 태조 -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조선왕조실록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역사서 중 조선왕조실록이 유독 특별한 이유가 있다. 보통은 차기 왕조가 전 왕조의 역사서를 편찬한다. 예를 들면 조선초에 집필한 <고려사>가 있겠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에서 집필한 조선 당대의 역사서다. A라는 왕이 있으면 사관이 A왕을 따라다니며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고 열씸히 끄적인다. A왕이 죽고 B왕이 즉위했다. B왕은 실록청을 만들어 A왕의 실록을 편찬한다. A왕의 실록을 편찬할 때, B왕은 절대로 참여할 수 없다. 몰래 볼 수도 없다. 이는 조선왕조 500년간 쭉 지켜져 온 하나의 체계이다.

 

(참고로 정식적인 실록은 철종 때 까지다. 고종 및 순종실록은 일제강점기때 편찬되었으므로 기록에 왜곡이 많다)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제목으로 나온 책은 많다. 많아도 정말 많다. 어린이용 조선왕조실록부터 어른용 조선왕조실록, 작가도 다 다르다. 내가 읽은 조선왕조실록만 해도 열권은 족히 된다. 그럼에도 또 조선왕조실록을 읽었다. 과거에 읽은 책과는 나름 차별점이 있었기에.

 

과거에 읽었던 조선왕조실록은 대게 한권 내지는 두권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반면 이번에 읽은 이덕일 작가의 조선왕조실록은 왕 별로 발행했다. 정확히 한 임금 당 한권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한 권당 1~ 3명의 왕으로 묶여있다. 과거에 읽었던 한 두권 짜리 책보다는 더욱 방대하고 세밀한 내용이 담겨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실제로 방대하고 세밀했다.

 

과거에 읽었던 책 조선왕조실록. 당시에는 너무 어렸다. 해서 책에 나온 모든 것이 실제 역사이구나 싶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가고 머리속에 든 것이 많아지면서 깨달았다. 시중에 나온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책은 실록 그 자체가 아니라, 작가의 관점으로 쓴 소설이라는 것을.

 

그 속에 팩트는 있으나 작가마다 팩트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 달랐다. 이 책 역시 그렇다. 역사서 조선왕조실록을 읽은 것이 아니라 이덕일이라는 한 사람의 주장이 담긴 역사소설로 읽어야 했다. 그 속에서 팩트와 주장을 걸러내고, 등장인물에 대한 작가의 평가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 읽은 그대로 흡수해 버린다면 작가가 주장하는 그대로를 흡수하는 것 밖에 안된다. 물론 작가의 주장에 동조하는 사람이라면 또 모르겠지만 말이다.

 

이성계가 최영에게 말했다.

"이 사변은 내 본심이 아니오. 국가가 편안하지 못하고

인민이 피로하고 원망이 하늘에 사무쳤기 때문에 생긴 일이니 잘 가시오.' - P173

 

그 유명한 위화도 회군. 최영 장군이 직접 요동정벌군을 이끌었다면 조선의 개국이 조금은 늦어졌을 지도 모르겠다. 뭐 여튼 위화도 회군으로 인해 고려의 수문장 최영 장군은 더이상 고려를 지킬 수 없었다. 그렇게 고려의 기운은 완전히 꺾어버렸다. 이후에는 뭐 일사천리였다.

 

, 꼭 일사천리라고는 할 수 없겠다. 정몽주가 아직 살아있었으니까. 이방원이 정몽주를 죽이고 나서야 정말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고려의 마지막 왕은 공양왕이라고 말한다. 틀렸다. 정확하게 말하면 고려의 마지막 왕은 이성계다. 이성계는 공양왕의 양위를 받아들여 고려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나라 이름은 그전대로 고려라 하고 의장과 법제는 한결같이 고려의 고사에 의거한다 - P284

이성계는 그제야 화가위국이 비극의 길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왕씨에게만 비극의 길이 아니라 이씨에게도 비극의 길이었다.

그것이 왕가의 길이고, 권력의 길이었다. -P347

 

고려 말 일개 무장이었던 이성계다. 정도전이라는 책사를 만나 이씨 집안은 왕가가 되었다. 이성계는 왕이 된 후 전 왕조, 왕씨들을 몰살시켰다. 무릇 권력이란, 장애가 된다 싶으면 아들과 아비가 없을진데 전 왕조는 당연히 척살 대상이었다. 하지만, 그 업보가 고스란히 이성계에게 돌아왔다.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군사를 일으켜 동생들을 죽였다. 정확히는 이방원의 이복동생 방번과 방석이다. 그 뿐이 아니다. 방번과 방석 말고도 이복동생이 하나 더 있었다. 경순공주였다. 다만 그녀는 살아남았다. 대신 그녀의 남편이 이방원의 손에 죽었다. 그렇게 이성계는 자기의 아들이 또 다른 아들을 죽이는 모습을 보아야 만 했다.

 

내 책장에는 본 책의 2권인 정종/태종편이 꽂혀 있다. 언제 2권을 꺼내서 읽을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