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시선 - 메타젠더로 본 세상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어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어떤 상황에서 누가 말하는가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공론장이 필요한 이유다. 말하는 당신은 누구인가요? 당신의 의견은 어떤 입장에서 출발했나요? 그 입장은 어디에 근거한 것인가요? 의미는 사회적 논의 과정, 화자(말하는 사람)와 청자(듣는 사람) 사이의 힘의 관계에 따른 일시적인 개념이다. 누가 하는 말인가에 따라 성희롱일 수도 있고, 유머일 수도 있다. 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바다.

 대개 '아름답고 고상한 단어'는 관념적이어서 오용되기 쉽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자유, 평화, 인권이라는 단어를 좋아하지 않는다. 글을 쓸 때도 되도록 피한다. 지유, 평화, 인권은 약자에게만 보장되어야 할 가치이지 보편적인 권리가 아니다. 그것이 모든 사람의 권리일 때 권리들 사이의 충돌로 인류는 멸망할 것이다. 강자(주류, 서구, 남성, 서울……)가 자신의 주장을 표현의 자유라고 말할 때,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테러이며 테러라고 불리는 저항(폭력)을 초래한다. 물론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누가 약자인가, 그것을 누가 정하는가부터가 정치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

 오랫동안 약자였던 집단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세상은 이들에게 요구한다. 너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세련되고, 우아학하게 말하라고. 네 주장은 시기상조라고. 말하는 너의 존재가 무섭다고, 우리는 펜을 쓰는데 너희는 칼을 든다고.

(95-96쪽)



 "예전에 비하면 여자들 살기 좋아졌어, 장애인 처우가 나아졌어, 지금 굶는 사람은 없잖아…." 이런 말이 오갈 때 나는 묻는다. "그들한테 직접 물어보셨나요? 본인이 아닌데 그걸 어떻게 아세요?"

(…)

 장애인의 지위는 당대 비장애인의 지위와 비교해야지, 왜 조선시대 장애인의 지위와 비교하는가. 중산층 여성의 지위는 중산층 남성과 비교해야지, 왜 가난한 남성과 비교하는가. 현대 여성의 지위는 현대 남성과 비교해야지, 왜 조선 시대 여성과 비교하는가. 여성(51퍼센트)과 장애인(15퍼센트)를 합치면 비장애인 남성 인구보다 많다. 다시 말해 여성이나 장애인은 내부 차이가 크기 때문에 특정 집단의 지위 상승 여부는 통계상으로도 쉬운 판단이 아니다. 따라서 나는 이 이슈에 관심이 없다. 사람이 아니라 과거와 비교되는 사람들! 이것이 차별 논쟁의 진짜 이슈가 아닐까.

 거칠게 요약하면, 현재 여성 '지위 상승'의 실제 내용은 극소수 여성의 성취일 뿐이고, 공사 영역 모두에서 여성의 '역할'(노동) 증대를 의미한다. 여성의 사회 진출만큼 남성의 가사 노동 시간이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여성 '지위 상승'은 여성의 이중 노동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남성들 간의 계급 차이에 대한 일부 남성의 분노가 '커리어우먼'에게 전가된 것이다. 남성 연대를 깨지 않기 위해 계급 이슈가 성별로 둔갑한 경우다. 여성의 지위 상승을 가정해도 그것이 남성의 지위 하락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로섬 사고방식은 세상이 오로지 성별 제도로만 굴러간다고 생각할 때 가능하다.

(277-279쪽)




 몇 년 전 지하철 노약자석에 '인권은 배려입니다' 글귀가 적힌 국가인권위원회의 공익 광고가 붙은 것을 본 적이 있다. 나는 나름 문제의식을 느끼고 위원회와 인권 단체에 이 문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정을 요구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한결같았다. "배려가 뭐가 나쁘냐."

(…)

 노약자석의 경우 장애인, 임산부, 노인에게 우선권이 있는 것은 배려가 아니라 그들의 권리다. 당연한 귄리를 상대방이 선심을 베푼다고 주장하며 고마워할 것을 요구한다면 불쾌감을 넘어 억울한 일이다. 배려나 관용은 '잘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베푸는 선의가 아니다. 배려는 동등한 적대자(適對者 혹은 敵對者)와 자기 자신에게만 국한되는 윤리다.

(…)

 통계적으로 어느 사회나 전체 인구의 51퍼센트는 여성, 10~15퍼센트는 동성애자, 10퍼센트는 장애인, 9퍼센트는 왼손잡이다. 이들이 정치적 약자일지는 몰라도 적은 인구라는 의미의 소수자는 아니다. 모든 동네에 이들이, 즉 '우리'가 살고 있다. 특정한 주장을 펼친 것도 아니고 남을 해친 것도 아닌데, 단지 '나, 여기 있어요'라는 알림(?)이 '유해, 혐오, 직설, 불법'이라는 것이다. 타인의 생각에 반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공중에 대한 공공연한 위협이다.

(……)

 '우산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같이 비를 맞는 것'이 인생이라면, 배려는 우산을 독점하고 선별해서 우산을 나눠주려는 권력의 만행을 도덕으로 포장한 행위다. 정말 배려하고 싶다면, 원래 보장된 남의 권리를 시혜로 둔갑시키지 말고 자기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 아니, 타고난 타인의 권리에 대해 자신이 판관 노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식, 분별력, 주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쟁자를 배려한다면, 전쟁 중에 상대방을 배려한다면, 지치고 외로운 자신을 배려한다면 그게 마음의 평화요, 인류의 평화다. 배려는 이때만.

 모든 차이는 임의적, 허구적인 것이다. 차이가 만들어지는 방식은 차치하고라도, 다름의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에서 그 누가 생존할 수 있겠는가. 인간은 기준에 따라 모두 소수자다. 단적으로, 나이 들지 않는 사람은 없다. '소수자 배려' 운운 말고 자신의 소수자성을 발견하고 드러내 다른 소수자와 연락하며 살아야 한다.

(284-287쪽)




 옮겨두고 싶은 글이 너무 많다. <페미니즘의 도전>도 아직 다 읽지 못했는데 이 책부터 꺼낸 이유. 당대의 문제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고(백남기씨, 세월호, 이명박근혜 정부 등) 예민한 눈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가끔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다가 말문이 턱 막히는 경우가 있다. 보통은 이렇다. 내가 제대로 말해서 싸움으로 번지거나 나 또한 제대로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싸움으로 번지거나. 그럴 때는 마음이 답답해지는데 이 책을 읽는 동안 적어도 이야기는 꺼낼 수 있지 않을까, 내 말이 틀릴 것만 같아서 입을 다물게 되지는 않지 않을까, 싶었다. 소수자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그것은 프로불편러가 되는 길이다. 계속 프로불편러가 되어야 한다. 프로- 프로불편러가 되어 세상을 바라볼 수 있어야한다. 포기한다면 마음에 답답만 주구장창 쌓인 채로 살아가게 될 거다! 

 짧은 글들이 묶여 있기 때문에 왔다 갔다 대중교통 이용하면서 읽기 참 좋다. 예전에 출근할 때 에미넴 노래만 들으면서 출근한 적이 있었는데, 이 책이 더 파워가 쎔. 요새 출근할 때 지하철 이용 시간이 15분밖에 되지 않는데, 두 챕터 씩 읽었던 것 같다. 지하철에서보다는 자기 전에 이 책을 더 많이 읽었는데, 왜 하필 자기 전에 읽었을까. 보통 자기 전에는 소설을 많이 읽는데 이 책은 그냥 읽고 싶어서 정말 읽고 싶어서 읽었다. 이 책은 그 전에 읽었던 《문학3》의 현장 섹션에 <'타자' 없는 듣고-쓰기_사가미하라 장애인 학살사건, 그 이후> 와 <정신은 좀 없습니다만 품위까지 잃은 건 아니랍니다>가 자연스레 이어졌다. 옮겨둔 글 중 가장 좋았던 부분을 꼽아본다. 인간은 기준에 따라 모두 소수자다. 자신의 소수자성을 발견하고 드러내 다른 소수자와 연락하며 살아야 한다.  

 좋은 책을 읽었고, 이제 또 좋은 책을 읽어야지. 어쩌다보니 이번 달에는 책을 꽤 읽었는데 이유는 잘 모르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5-01 1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편‘보다 ‘비판‘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고 싶어요. ‘프로불편러‘가 자주 사용되는 유행어가 되다 보니 불만을 표출하는 행동을 비꼬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