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에 사랑이 없다면, 그 무엇이 의미 있으랴 - 에리히 프롬편 ㅣ 세계철학전집 4
에리히 프롬 지음, 이근오 엮음 / 모티브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율법 중에서 어느 계명이 크냐는 율법사의 질문에 예수님은 이렇게 대답하셨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마태복음 22장 37-40)
또한 제자들에게 새 계명을 주시는데 그 새 계명은 이렇다.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요한복음 13장 34-35)
이처럼 사랑은 기독교를 대표한다.
기독교에서만 사랑을 강조하지는 않았다. 수많은 철학자, 소설가, 시인 등이 사랑을 언급하며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했다. 그 중에서도 에리히 프롬은 『사랑의 기술』, 『소유냐 존재냐』 등의 책에서 사랑에 관한 그의 생각을 들려주었고, 이번에 모티브에서 출간된 세계철학전집 에리히 프롬편 《삶에 사랑이 없다면, 그 무엇이 의미 있으랴》에서는 현대 언어로 그의 사상을 쉽게 풀어놓았다.
이 책에서는 8장에 걸쳐 사랑에 관해 들려주는데 가장 먼저 소유와 존재의 의미를 설명한다. 소유 방식과 존재 방식에 따라 사랑을 대하는 모습이 현저하게 다르기에 그에 관해 설명한 후 본격적으로 사랑의 종류와 사랑을 하는 방법, 성숙한 사랑이 무엇인지,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와 이별 등 사랑에 관한 여러 단면들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상의 모습들로 설명한다. 데이트 비용으로 보는 성숙한 사랑은 조금 과장된 면도 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공감하게 되는 내용이다. 또한 신을 믿는 자들에 대한 경고 아닌 경고의 글은 기독교인으로서 다시 한 번 내 모습을 돌아보게 만들었다.
사랑이 언제나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아픔 속에서 이별로 이어지기도 하고, 사람에 대한 불신으로 힘들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사랑은 여전히 인류에게 가장 아름다운 단어이다. 우리는 사랑을 통해 다치기도 하지만, 사랑 없이 살아갈 수는 없다는 에리히 프롬의 말처럼 말이다.
책을 덮으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땅에는 얼마나 많은 사랑들이 그 꽃을 아름답게 피워내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