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녀를 좋아해라는 문장에서 문장의 주인이 되는 나는을 주어라고 부른다.주어가 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어떻게 하다는 동사, 무엇을에 해당하는 것은 목적어이다. 우리말과 영어 모두 문장에는 주어와 동사가 꼭 있다.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해 주는 보어와 같은 성분들이 있다.

주어는 나는, 우리가처럼 문장의 주인이 되는 말이다. 동사는 간다, 있다처럼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목적어는 동생에게, 너를처럼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이다.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해 주는 말이다.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것은 주격 보어,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것은 목적격 보어라고 한다. 형용사가 주어나 목적어를 꾸며 주거나 부사가 동사를 꾸며 줄 때는 이런 말들이 없어도 완전한 영어 문장이 된다.
바쁜 초등학생은 명사나 대명사를 꾸며 주는 게 형용사이다. 빨리 달린다는 동사 등을 꾸며 주는 게 부사다. 1형식은 주어,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나는 간다, 2형식은 주어, 동사, 다음에 주어를 설명해 주는 보어가 온다. 나는 키가 크다. 3형식은 주어,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온다. 나는 그녀를 좋아한다. 4형식은 주어,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2개 온다. 나는 그녀에게 모자를 주었다.
5형식은 주어, 동사, 목적어 다음에 목적어를 설명해 주는 보어가 추가된다. 나는 그녀에게 가라고 말했다. 영어를 한국어로 공부하니까 더 쉽게 다가오는 것 같다. ㅎㅎㅎㅎ1형식을 보면 나는 노래한다.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문장을 구성하는 핵심은 주어와 동사이다. 주어와 동사는 5형식까지 절대로 빠지면 안되는 문장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