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또한 지나가리라! - 김별아 치유의 산행
김별아 지음 / 에코의서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맨 처음 책을 마주대했을때 '산행'이라는 단어만 보고는 책 속에 산에 대한 풍경과 정보들이 가득할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예비산행 꼭지를 읽으면서 내 생각이 완전히 틀린 것임을 깨달았다. 산에 대한 이야기는 맞되, 산을 오르는 자들에 대한 정보가 가득한 것이 아니라, 산을 오르는 마음가짐에 대한 생각들로 가득했던 것이다.
나 역시 작가가 말하는 대로 '평지형 인간'이였다. 산을 오르는 것에 극도로 거부감을 가지게 된 것은 바로 중학교 때였다. 중학교 무렵, 체력을 길러주겠다며 새벽마다 아빠는 나를 산으로 데리고 가셨다. 다 커서 다시 가 본 산은, 산이라기보다 언덕에 가까운 곳이었지만 어렸을 때는 아침마다 가파른 곳을 오르고 오르고 또 오른다는 것이 곤욕 이였다. 아침잠이 절실했던 터라 어떻게든 산에 가지 않으려고 발버둥 쳤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 산에서 사랑했던 것은 꾸역꾸역 정상으로 오른 뒤 날 맞아주는 시원한 바람과 새벽 공기였다. 그래서 미치도록 가기 싫은 새벽 산행 이였지만 시원한 바람이 그리워 일주일에 한 번쯤은 저절로 눈이 떠지기도 했더랬다.
나와 마찬가지로 네팔 포카라에 머물면서도 히말라야 쪽에 눈길도 안주었던 작가가 산에 오르게 된 것은 특별한 계기가 있다. 첫 번째는 아이와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서였고 두 번째는(제일 중요한 이유일수도 있는)제일 밑바닥에 마주한 자신과 마주대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므로 이 글은 산행기이되 산행기만은 아니다. 산을 오르며 쓴 글이되, 때로 산보다 더 가파르고 굴곡진 삶과 그 굽이굽이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백두대간을 오르며 산행 첫날부터 무언가를 발견하고, 내 안의 신비한 무엇을 발견했다고 호들갑스럽게 적었더라면 아마 끝까지 책을 읽어 내리지 못했을 것이다. 소아우울증에서 시작된 우울한 유년기와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 그리고 워커홀릭이 되기까지 적나라한 자기성찰이 산행과 함께 펼쳐졌다. 가까운 누군가의 깊은 비밀을 알게 된 것처럼, 처음에는 '아...'라는 짧은 탄식과 함께 쉽사리 책장을 넘기지 못했다. 결코 쉽게 책장을 넘기지 못하면서도 끝까지 작가와 함께 산행을 한 것은 솔직할 만큼 자신의 어두운 부분과 함께한 작가의 용기 때문이리라.
<그야 당연히 산을 타는 게 더 어렵죠! 공부는 하는 척할 수도 있지만 산은 타는 척할 수 없잖아요?열네 살짜리의 말이 내 마음에 묵직하게 얹혀 있던 그 어려운 질문에 대해 내놓을 수 있는 최선의 대답이었다. 산은 타는 척할 수 없고 삶은 사는 척할 수 없다. 죽은 척하고 살 수는 있을지 몰라도 사는 척 흉내를 내면서는 단 한순간도 온전히 살 수 없다. 산을 대신 올라줄 수 없는 것처럼 무엇을 위해 사는지는 누구도 대신 대답할 수 없다. 그러니 피투성이에 너덜너덜해진 몸으로 악전고투 끝에 절벽을 기어올라 닿은 정상에서 무엇을 보았는지는 남에게 이러쿵저러쿵 설명할 필요가 없다. 자신의 산은 오직 스스로 올라야 그 끝에 닿을지니.>
여러 사람이 있는 만큼 여러 삶이 있을 것이다. 물론, 진정 나를 위해 삶을 살아가는 사람도 있고 혹은 남에게 보이는 나를 위해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과연 어떤 삶이 행복한 것일까? 작가는 산을 오르며 정답을 찾아냈다. 정상까지 오르기 위해서는 오롯이 나만 길 위에 남겨져있다. 숨이 턱까지 차올라도 정상을 오르고 그리고 내려오는 것은 '척'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내기 위한 것임에 틀림없다.
나도 문득, 산에 가보고 싶어졌다. 백두대간처럼 높은 곳은 아직도 겁이 나지만 중학교 때 올랐던 그 곳에라도 올라보고 싶어졌다. 마음 먹은 대로 살아가기 힘든 인생이지만, 내면의 자아에 충실하게 오르다보면 결국 내가 만나보고 싶은 나와 만나게 될 것이란 믿음을 다시 확인해보고 싶어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