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의 <사탄 탱고>를 펼쳤다.
본격적으로 읽기 전, 어떤 느낌인지 알고 싶어서 앞부분만 읽어보려고 했는데 금세 100쪽을 넘겨버렸다.
모든 것을 훑고 가버린 듯한 황폐한 마을이 등장한다.
습하고 축축하면서도 시큼한 곰팡이 냄새로 가득한 방에서 절망에 빠진 사람들과 떠날 시기를 노리는 사람들이 내뿜는 두려움과 무력감이 생생하게 전달되어 머릿속에 한 장면, 한 장면이 영화 필름처럼 지나간다.
진창길을 걷느라 진흙이 덕지덕지 붙은 부츠를 신은 남자들과, 강박이 느껴질 만큼 끊임없이 사람들을 기록하는 의사까지... 쓸만한 물건들은 모두 드러내어 버려진 물건과 함께 남겨진 듯한 사람들을 들여다보는 동안 소리까지 민감해지면서 나마저 집요한 관찰자가 되어버린 것만 같다.
아직 윤곽이 분명치 않은 그 형체를 보고 싶게 만드는 궁금증 때문인지 책장이 계속해서 넘어가고 있다.
- 밑줄 -
그는 요람과 관의 십자가에 결박되어 경련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았다. 그런 그는 결국 냉혹한 즉결심판을 받고 어떤 계급 표식도 부여받지 못한 채, 시체를 씻는 사람들과 웃으면서 부지런히 피부를 벗겨내는 자들에게 넘겨질 것이다. 그때가 되면 가차 없이 인생사의 척도를 깨닫고 말리라, 돌이킬 수도 없이. (p. 15)
매일 밤 대야에 담긴 따뜻한 물만 있으면 돼. (p. 26)
두 사람은 몇 시간 동안 말 한마디 나누지 않고 수킬로미터를 걷는다. 어쩌다가 하늘에 별 하나가 반짝이는 것도 같지만, 짙은 어둠이 내내 이어진다. 어쩌다가 달도 모습을 드러내긴 하지만 달은 그 아래 자갈길을 걷는 두 지친 방랑자들처럼,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는 마주치는 모든 장애물을 통과해 마침내 새벽이 올 때까지 하늘의 전장(戰場)을 가로질러 도주하는 중이다. (p. 70)
혼자서는 절대로 저지할 수 없다고 느꼈다. 아무리 애를 써도 모든 것-집들과 담장들, 나무와 들판, 공중에서 하강하며 나는 새들, 배회하는 짐승들, 육신을 가진 인간들, 욕망과 소망들을 파괴하고 소멸시키는 힘에 맞설 수는 없었다. 그럴 능력이 없었다. 그는 인간의 삶에 대한 위협적인 공격에 헛된 저항밖에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돌이킬 수 없는 음험한 몰락에 자신의 기억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이곳의 모든 것, 벽돌공이 쌓고 목수가 만들고 여인들이 바느질한 모든 것이, 남자들과 여자들이 애써 이룬 모든 것이 저승의 물살에 어지러이 휩쓸려 형체가 불분명한 액체로 화한다 해도 오로지 기억만은, 그가 맺은 계약이 깨져 죽음과 몰락이 그의 뼈와 살을 공격하기 전까지는 살아 있을것임을 그는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것을 주도면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하기로 마음먹었다. (p. 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