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하의 소녀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
티에리 르냉 지음, 조현실 옮김 / 비룡소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사라는 자신의 마음을 꽉 닫은 채 자신의 내면 모습을 표현하는
낡은 인형을 들고 쓸쓸히 운하를 바라본다.
어쩌면 성폭행한 미술 선생님이나 과거에 성폭행을 당했던
담임선생님이나 사라의 내면을 못 보는 부모님보다도
더욱 나쁜 것은 주변 사람들이 관심이 못 얻는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가해자도 잘못했고 사라를 너무 사랑하여 사라의 내면을
못 본 부모님도 잘못이 있지만, 사라의 마음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
친구들이나 이웃 사람들이 나서서 관심을 가져주어야 했다.
하지만 그러기는커녕 사라의 고통을 아는 사람은 과거에
같은 일을 당하신 사라 담임선생님 뿐......
사라가 미술선생님한테 당한 것처럼 담임선생님도
어릴 적 삼촌한테 당했다. 그 때의 혼란과 두려움을 어떻게 표현하랴?
그러나 과거의 일이 들춰진다고 도망가기만 하면 자기가 원하던 ‘진실’과는
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된다.
보통 아동 성폭행은 아는 사이나 혈연관계에서 더 잘 일어난다고 들었다.
물론 다 그렇다는 건 아니다.
전에 인터넷 시사를 보니까 어떤 학교의 교장이 전교생의 반 정도를
성폭행했다고 나왔다. 그렇게 많은 학생들이 당할 동안 우리가
한 게 과연 무엇일까? 위로라도 해주었을까?
그냥 범인을 잡는 것만으로 끝나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정작 피해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위로를 하고 문제 해결을
해줘야 하는데 말이다.
성폭행 당한 여성들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사람들 때문에
피해자의 마음은 겨울의 운하처럼 겉은 얼어있고 속으로만 흘러간다.
더 이상의 아동 성폭행을 막으려면 피해자도 주변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고 주변 사람들도 자기 자식처럼 이해해주는 마음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동 성폭행 가해자는 ...인명은 중하지만 인육은 중할 거 없으니까
‘성기 절단형’을 내려야 할 것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