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히데키의 “묵공” 이라는 만화를  보면 이런 대목이 나온다 .

묵가의 3 대에 겸애와 반전론(비폭력) 을 주장하던

묵가인(묵가를 따르는 사람들 )이 그 신조를 버리고 진나라의 침략전쟁에

동조한다 . 한나라 접경지역에서 온 혁리와 운형이 걸어가는데

이미 힘을 잃은 한나라 사람들이 침략한 진나라 병사들을 두려워한다 .

그러자  운형이  말한다 .




“...이놈 저놈 할 거 없이  벌벌 떨면서  마음속에서부터

 패배를 인정하고 있다구요 . ”




이명박이 대통령이 되고 나서 “잃어버린 10 년 ” 운운했을 때 ,

나는 우리가 상상하던 일 이상의 그 무엇도 이 정부에서 가능하겠구나 싶은

불길함을 느꼈다 . 영어몰입교육이 그렇고 경부운하가 그러하며 자사고

100곳 설립이 그러했다 .  그런데  한미 FTA 비준을 재촉할 때 ,

노무현이 뿌려논 바람을 이명박이  태풍으로 거두려고 안간힘이구나

하며 속으로 비웃었다 . 그리고 뒤이은 광우병 쇠고기 수입!




사람들이 이 싸움을 시작했을 때 나는 속으로 ,

“그래, 촛불을 들고 나서면 뭘 어쩔 거냐 ? 쇠귀에 경읽기지 .

못들은 척 하고 쇠심줄처럼 질기게  제 갈 길을 가는 게

저 사람들 일하는 방식인데 소통은 무슨 !”




그러면서  나는 운형이 일갈한 것처럼  마음속으로 이미 패배를 인정하고

있었던 것 같다.  결국 광우병 쇠고기는 수입하고 사람들은 싼 맛에

먹거나 모르고 먹은 다음 랜덤으로 인간광우병에 걸려 5 년이나

10 년 후에 쓰러지고 명박 일족은 그동안 긁어모은 재산으로 

미국에서 살며 몰디브로 휴양하러 다니겠구나...하는.




대문에 걸린 정태춘의 장마를 들으니 이 노래에 유효기간이 

없다는 사실이 서글프고 씁쓸하다 . 내가 처녀시절에  느꼈던 암담함을 

지금 젊은이들이 또 느끼고 그때 젊었던 이젠 늙은 사람들이

또 다시 느껴야하는 세태.




우리는 다시 이길 수 있을까 ? 저 단단한 자본과 수구보수로 무장한

인간들의 벽을  뚫고 승리하여 좀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구가하면 

참 좋겠다.




정태춘과 박은옥은  잘 살고 있는가 .

 2008,6,27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