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포리스트 카터 지음, 조경숙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예전 백인들이 인디언들에게 얼마나 못되게 굴었는지 잘 알게 해주는 책이다. 주인공인 ‘작은 나무’는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살았는데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살고 있었다. 새들의 지저귐이 말로 들렸고 땅을 매일 맨발로 걷고 다녔다.

할아버지는 키가 매우 큰 인디언인데 자상하지만 때로는 매우 무서웠다.

특히 백인하고 얘기를 하실 때 표정이 좋다가도 순식간에 험악하게 변했다.




‘작은 나무’는 산을 날마다 올라가면서 밤에는 ‘늑대별’을 할아버지와 봤고

집에 가면 할머니와 개들이 반겨 주었다. 나도 개들을 좋아 하지만 키우기가

너무 힘들어서 ‘작은 나무’처럼은 안될 것 같다.

백인들은 그 당시 인디언을 악의 씨라고 불렀다. 똑같은 사람인데도 말이다.

그리고 인디언의 살던 곳을 마음대로 짓밟고 빼앗았다. 인디언이 땅을 안 팔면

총을 겨누었다. 이게 어떻게 사람이 할 짓일까?

‘작은 나무’는 소년원에 끌려가 백인들의 잔인함을 경험한 뒤 다시 집으로 돌아와

할아버지,할머니의 죽음을 지켜본다. 그 뒤 개 2마리와 여행을 하다

‘리틀 보이’라는 개는 빙판을 지나가다 빙판이 깨져 빠져 죽고

‘블루 보이’라는 개는 계속 여행을 하다 지쳐 ‘작은 나무’의

무릎에서 편안히 죽는다. ‘블루 보이’는 내가 봐도 훌륭한 개이다.

충성심이 매우 강한 것 같다.




인디언은 훌륭한 존재이다. 필요한 수치 이상은 대지에서

가져오지 말라는 말도 있다. 이 말은 지금 우리가 써야 할 실천

사항인 것 같다.

우리는 필요한 게 충분해도 그 이상을 너무 바란다.

그러면 자연의 순환이 깨지고 언젠가는 우리 인간들도 죽는다.

제발 잃은 뒤에 깨닫지 말고 처음부터 위험 순위를

넘지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자기의 욕심만 채우느라

다른 사람을 학대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