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전경린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전경린 소설을 처음 읽었다 . 아니, 염소를 모는 여자를 읽었지만 특별히 기억에 남지 않았
다 . 도대체 염소는 뭐람...그런 생각을 하고 지나쳤던 것 같다 .
이 소설을 읽은 까닭은 기혼녀인 한 친구가 홀연히 찾아온 늦은 연정에 몸살을 앓으면서 자
기가 읽어보았더니 어떻더라고 하기에 도서관에서 빌려 손에 들었던 것이다 . 나 역시 한
때 자연스럽지 못한 연사를 겪었지만 (믿거나말거나^^)이건 단순히 연사 혹은 불륜이라기엔
껄끄러운 삶의 방식이었다 .
어디에서 보니 이렇게 써있다
불륜의 뒤에야 “처음으로 머리 끝까지 피가 운반되는 신선한 생기”를 느끼는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의 주인공 미흔도 그렇다. 그들은 자신을 얽어매고 있는 생의 관습
적인 틀, 일상이라 불리는 올가미를 풀어던지기 위해 필사적으로 ‘가출’하려 하거나 ‘탈
주’한다.
듣기 좋으라고 그렇게 썼지만 나는 이 주인공 여자 미흔이 왜 그렇게 살아야 했는지 명쾌하
게 이해할 수 없었다 . 미흔은 평온하게 사랑하는 남편과 아이와 함께 살다가 어느 날 남편
이 외도를 한 사실을 알게 된다 . 그러니까 미흔의 일탈은 남편의 외도로부터 시작된 셈이
다 . 믿었던 사람에 대한 배신으로부터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었고 그 상처를 껴안고
있다가 기회가 되니 그 역시 불륜에 발을 디뎠다는 얘기다 . 나 역시 결혼 경험이 있었던
여성이지만 남편이 바람을 폈다고 해서 그걸 수삼년이나 껴안고 우울증에 시달리며 아무것
도 (!이것이 문제다 ) 하지 않고 식물처럼 살아간다는 게 좀 기이했다 . 이 소설 속에는 가
정 밖에 모르던 여자가 남편의 외도를 계기로 (물론 단순한 외도라기 보다는 상대 처녀가
임신, 낙태까지 했다고 집으로 찾아와 모멸을 주었다-한 마디로 '싸이코'인데 남자들은 바람
을 피울 때 그럴 염려가 있는 여자들은 좀 피하는 게 좋겠다 -.-;;들키지 않을 상대를 고르
라^^) 자기 삶 전체를 돌아보고 자기 삶이 어리석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 . 내가 보기엔 그
여자가 남편을 뜨겁게 사랑해서 배신감을 느꼈다기보다는 자신에게 찾아온 예기치 않은 불
행에 대해 대처할 능력이 없는 정신적으로 허약한 여자라고 느낀다 .
부부가 살면서 둘이서 정조를 지키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현실이란 그렇지 않다 . 잡은
고기 먹이주느냔 남성도 있고 훔친 사과가 맛있다는 남성도 있으며 남의 떡이 커보인단 남
성도 물/론/ 있다 . 그거야 성의 취향이니 누가 뭐랄 수가 없다 . 여성도 마찬가지다 . 지금
사십대 여성들이야 아무래도 남편 아닌 남자와 살 섞는걸 부도덕하다고 생각하도록 교육받
고 살았지만 젊은 처자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 . 미용실 교양지를 다 믿을 순 없겠지만 기혼
녀들도 남자친구 정도는 있어도 된다고 생각하며 실제로 남자친구 혹은 애인과 혼외정사 경
험이 있다고 고백하는 드물지 않다고 한다 .뭐 가장 공평한건 '스와핑' 일 수도 ^^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주의를 환기하고 지나가야겠다 . 부부 한 쪽이 한 쪽의 성에 대해서
혹은 애정에 대해서 지루함을 느끼거나 관심이 없어졌을 경우도 반드시 정조를 지켜야 하는
냔 문제다 . 그건 아주 개인적인 문제이므로 타인이 왈가왈부할 필요는 전혀 없다 . 다만 이
소설에서 주인공의 남편은 '사고 ' 같은 것이었다고 항변하는데 아내는 그걸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 그리하여 식물처럼 살다가 이주해간 조용한 시골 마을에서 (내가 보기엔) 전문 작
업꾼^^인 남자를 만나 열정적으로 몰두하게 된다 . 그러니까 주인공 여자도 남편의 외도를
이해해야 할 시점에 다다른 것이다 . 그러나, 전혀 남편을 이해한다는 기미가 없다 . 주인공
은 주인공 나름의 색다른 연애를 할 뿐이다 (불륜이라고 쓰고 싶지 않다!)
아내의 연애와 남편의 연애는 전혀 별개의 것이며 아내는 남편이 외도를 하지 않았더라도
그 우체국 남자에게 운명적인 사랑을 느꼈을 것이다 . 왜냐면 그토록 멋진 남자니까 -.-;;
나는 이 소설을 읽고 ..전경린이 왜 이 소설을 썼는지 생각해보았다 . 그리고 과연 이렇게
사는 여자들이 이 땅에 몇 % 나 있을지 생각해보았다 . 개연성이 없는 이야기면 신선하기
나 하던지 발상이 전아하던지 아님 지구 끝까지 둘이 가서 산화해버리던지 (둘이는 교통사
고를 당해 망신만 당하고 헤어지게 된다)
더 이상한 건 ...나는 그 여자가 왜 그 우체국 남자에게 매달리는지 료해^^가 가지 않았다 .
그냥 연애전문가라면 들키지 말고 만나던가 그 생애 단 한 번뿐일 고귀한 사람이라면 좀 참
던가 늦게 만난 사랑에 대한 깊은 아픔이라면 때를 기다리던가 (기다려봤자 결국은 지루해
지는 경우가 많지만 -.-;;)아니면 법적 절차를 밟아 뭐 어떻게 하던가 .
평자들이 혹은 식자들이 이 소설을 어떻게 말하는지는 모른다 . 다만 내가 읽어보았을 때
연애에 무지 서투른 여자가 밥 먹고 살기가 힘들지 않아서 공연히 일 한 번 저지르다가 들
킨 이야기가 아닌가 싶을 따름이었다 . 이 철저히 반(反)일상적인 여자에 대해서 연민을 느
끼며 이 여자는 나 같은 여자를 만나 한 열 번 정도 웃고 떠들면 우울증이 치료되지 않았
을까 생각해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