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끼 개 ㅣ 낮은산 어린이 5
박기범 지음, 유동훈 그림 / 낮은산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 직업은 사교육 자영업자다 . 아이들을 가르치러 갔을 때 개가 먼저 반가워하며 뛰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
개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때로 개에게 함부로 욕을 하거나 개가 원치 않는 수술을 해주는 걸 보기도 한다 . 개에게도 견권이 있는데 함부로 어떻게 하는 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
나는 지금 좁은 집에서 살기 때문에 못 키우지만 언젠가 마당 있는 집으로 이사 가면 마당에서 개를 개답게 키울 것이다 .
개를 개답게 대접한 동화책 몇 권이 있다 .
권정생 선생님의 책 , ‘비나리 달이네 집 ’ .
비나리라는 동네에 달이라는 강아지(라기 보다는 개)와
신부님인 '아빠(달이가 부른 호칭)'가 살고 있다.
달이는 어느 날 산에 놀러갔다가 덫에 걸려서 앞 발을 빼내려다 그만 앞발이
뜯어지고 만다 . 뜯/어/졌/다......
아빠는 그 앞발을 정성스레 치료해주지만 달이의 다리는
네 개가 아니고 세 개...장애견이 되고 만다.
시골마을에서 미사 집전을 하거나 혹은 농사를 지으며
소박하게 사는 아빠는 그런 달이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 .
개에게 인간의 죄를 대속하고 싶어진다. 인간은 욕심 때문에 자연과 동물에게
죄를 짓고 산다 .사람의 목숨이 아니면 (때로는 사람의 목숨조차도 ) 다 하찮게
여기고 만다 .
권정생동화에 나오는 약자들은 ...하염없이 당하면서도
세상을 증오하거나 복수심에 불타지 않는다 .
박기범의 ‘어미개 ’ 와 ‘새끼개 ’ 에 나오는 감자와 새끼개는 연작 동화라고 할 수 있다 . 낯선 세상에 던져진 새끼개는 저를 귀여워하는 사람 주인이 두렵다 . 아이들이 아무리 귀엽다고 보듬어주어도 괴로워서 움츠러들 뿐이다 . 아이들은 사랑을 받아주지도 않고 낯가림만 하는 개를 금방 포기해버린다 . 새끼개는 가엾게도 네 바퀴에 희생당하고 만다 . 우리가 길에서 흔히 보는 아스팔트 위에서 분해 된 개...영혼은 어디로 갔을까.....
어미개 감자는 할머니와 함께 외롭고 아프게 산다 . 새끼를 아주 많이 낳아서 그걸로 할머니가 생계를 잇는데 도움을 준다 . 새끼를 잃을 때마다 마음이 찢어지듯 괴롭지만 할머니는 새끼란 언젠가는 떨어지는 거라는 걸 가르쳐 준다 . 살아가는 순리를 거스르지 않고 감자는 죽을 때까지 새끼를 낳고 할머니와 가족이 되어 할머니의 아픔을 함께 나눈다 .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죽는다 .
프랑스 말로 '개'란 이름의 주인공 개 ‘까보까보슈’는 단지 못생겼다는 이유로 주인에게 버려져 거리를 떠돌다가 수용소에 갇히게 되고, 거기서 만난 꼬마 여주인 사과와 그 가족들과 함께 살면서 겪게 되는 여러 사건이 나온다 . 개를 사랑한다는 프랑스 사람들도 귀여울 땐 사랑하지만 귀찮으면 가차없이 개를 버린다 . 개와 인간이 우정을 나눈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대등해지기 전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
우리는 타인을 사랑하라고 배웠다 . 하지만 내 울타리 안에 있는 가족을 사랑하는 건 사랑이라기 보다는 이기심이다 .
우리는 동물을 사랑하라고 외친다 . 하지만 사람 입맛에 맞게 꾸며서 끌고 다니고 고급 사료를 먹이는 건 사랑이라기 보다는 대리 만족이다 .
지금 아파트 아이들이 개를 키우기는 어려울 거다 . 언젠가 마당 있는 집으로 이사를 가서 개도 키우고 토끼도 키우고 염소도 키운다면 좋을 것이다 . 그때 아이들은 개나 토끼나 염소를 사랑하는 일은 그 동물들의 ‘똥’ 도 사랑해야 하는 거라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
아이들을 사랑하는 거나 말 못하는 동물을 사랑하는 거나 그 출발은 똑같다 . 생명을 사랑하는 일이다 . 다만 동물은 어느 시점에 ‘식량’ 이 될 수도 있다는 게 다르다면 좀 다를까? 중복과 말복에 ‘개 ’를 사랑하는 것이 지극하여 ‘개 - 살’ 까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 한다 . 나는 ‘개’는 사랑하지만 ‘살’ 은 사랑하지 않는 게 차이다 .
개에 관심이 많은 나는 ...‘개띠 ’ 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