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개 낮은산 어린이 5
박기범 지음, 유동훈 그림 / 낮은산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내 직업은 사교육 자영업자다 . 아이들을 가르치러 갔을 때 개가 먼저 반가워하며 뛰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
개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때로 개에게 함부로  욕을 하거나 개가 원치 않는  수술을 해주는 걸  보기도 한다 .  개에게도 견권이 있는데 함부로  어떻게 하는 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

나는 지금 좁은 집에서 살기 때문에 못 키우지만  언젠가  마당 있는 집으로  이사 가면 마당에서  개를 개답게 키울 것이다 .

개를 개답게 대접한  동화책 몇 권이 있다 .

권정생 선생님의 책 , ‘비나리 달이네 집 ’ .
비나리라는 동네에 달이라는 강아지(라기 보다는 개)와
신부님인 '아빠(달이가 부른 호칭)'가 살고 있다.
달이는 어느 날 산에 놀러갔다가 덫에 걸려서 앞 발을 빼내려다 그만 앞발이
뜯어지고 만다 . 뜯/어/졌/다......

아빠는 그 앞발을 정성스레 치료해주지만 달이의 다리는
네 개가 아니고 세 개...장애견이 되고 만다.
시골마을에서 미사 집전을 하거나 혹은 농사를 지으며
소박하게 사는 아빠는 그런 달이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 .
개에게 인간의 죄를 대속하고 싶어진다. 인간은 욕심 때문에 자연과 동물에게
죄를 짓고 산다 .사람의 목숨이 아니면 (때로는 사람의 목숨조차도 ) 다 하찮게
여기고   만다 .
권정생동화에 나오는 약자들은 ...하염없이 당하면서도
세상을 증오하거나 복수심에 불타지  않는다 .

박기범의 ‘어미개 ’ 와 ‘새끼개 ’ 에 나오는  감자와 새끼개는 연작 동화라고 할 수  있다 . 낯선 세상에 던져진 새끼개는 저를 귀여워하는 사람 주인이 두렵다 . 아이들이 아무리 귀엽다고 보듬어주어도 괴로워서  움츠러들 뿐이다 . 아이들은 사랑을 받아주지도 않고  낯가림만 하는 개를 금방 포기해버린다 . 새끼개는 가엾게도 네 바퀴에 희생당하고 만다 . 우리가 길에서 흔히 보는 아스팔트 위에서 분해 된 개...영혼은 어디로 갔을까.....

어미개 감자는  할머니와 함께 외롭고 아프게 산다 . 새끼를 아주 많이 낳아서 그걸로 할머니가 생계를 잇는데 도움을 준다 . 새끼를 잃을 때마다 마음이 찢어지듯 괴롭지만  할머니는  새끼란 언젠가는 떨어지는 거라는 걸 가르쳐 준다 . 살아가는 순리를 거스르지 않고   감자는  죽을 때까지 새끼를 낳고 할머니와 가족이 되어 할머니의 아픔을  함께 나눈다 .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죽는다 .

프랑스 말로 '개'란 이름의 주인공 개 ‘까보까보슈’는  단지 못생겼다는 이유로 주인에게 버려져 거리를 떠돌다가 수용소에 갇히게 되고, 거기서 만난 꼬마 여주인 사과와  그 가족들과 함께 살면서 겪게 되는 여러 사건이 나온다 . 개를 사랑한다는 프랑스 사람들도 귀여울 땐  사랑하지만 귀찮으면 가차없이 개를 버린다 . 개와 인간이 우정을 나눈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대등해지기 전에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

우리는 타인을 사랑하라고 배웠다 .  하지만  내 울타리 안에 있는 가족을 사랑하는 건 사랑이라기 보다는 이기심이다 .
우리는  동물을 사랑하라고 외친다 . 하지만 사람 입맛에 맞게 꾸며서  끌고 다니고 고급 사료를  먹이는 건 사랑이라기 보다는 대리 만족이다 .

지금  아파트 아이들이 개를 키우기는 어려울 거다 .  언젠가  마당 있는  집으로 이사를 가서 개도 키우고 토끼도 키우고 염소도 키운다면 좋을 것이다 . 그때 아이들은 개나 토끼나 염소를 사랑하는 일은 그 동물들의 ‘똥’ 도 사랑해야 하는 거라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
아이들을 사랑하는 거나   말 못하는 동물을 사랑하는 거나 그 출발은 똑같다 .  생명을 사랑하는 일이다 .  다만 동물은 어느 시점에 ‘식량’ 이 될 수도 있다는 게 다르다면 좀 다를까? 중복과 말복에  ‘개 ’를 사랑하는 것이  지극하여 ‘개 - 살’ 까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 한다 . 나는 ‘개’는 사랑하지만 ‘살’ 은 사랑하지 않는 게  차이다 .

개에 관심이  많은 나는 ...‘개띠 ’ 다 .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zzanga62 2008-07-28 14: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름 개를, 동물을 바르게 대접하고자 하는 마음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과연 지금의 님이 생각하는 방법이 견권을 '정치적으로' 위하는 것일까요?

새끼 개는 마당이 없는 집에 입양되었기에 사랑을 못받았을까요?
그것이 아니라 부모가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모르는채 아이들 장난감으로 사주었기 때문입니다. 말못하는 동물의 마음을 어떻게 읽고 배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가르쳐줄 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가장 불쌍한 것은 새끼 개지만, 배려와 공감의 능력이 없는 그 아이들과 부모도 모두 염려스럽습니다. 다른 생명체와는 어떻게 관계 맺어야 하는지 전사회적으로, 어려서부터 교육되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어미 개가 봄가을로 새끼를 낳고 한달 남짓되면 모두 떼어내지고, 그 새끼도 제대로 살지 못하고 하는 것이 견권을 위한 것일까요? 인간의 이별이 있다해서 그런 식으로 무작정 자식을 낳고 그와 헤어지나요? 개들이 야생동물로서 자연에 산다하면, 자연 조건에 맞게 산아제한도 되고 개체수가 자연조절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과 함께 살며 부족함 없이 밥을 주면, 정말 봄가을로 낳게 되고 늘 일찌감치 이별을 해야겠죠.
모두 그래야 한다면, 그로 인해 고통에 빠지는 개들은 너무나 많게 되는 거죠.
실제로 잘 키울 수 있는 사람에 비해 개체수가 너무 넘쳐서 많은 개들이 유기,유실,학대,안락사 당합니다.

좀더 아름답게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중성화수술이 과연 무엇인지, 왜 하는지에 대해 새롭게 고민해보실 필요가 있답니다.
http://www.withanimal.net/tt-cgi/tt/site/ttboard.cgi?act=read&db=faq&page=2&idx=25

그리고 대개의 ‘개 - 살’을 사랑하는 사람은 개 그 자체를 사랑하지는 않습니다.
개라는 생명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개의 시체, 고기에 대한 식탐이므로,
‘개 - 살'까지라는 표현은 적합하지 않네요.

어떻든 개와 고양이가 보편적 반려동물도 자리잡은 사회에서 그들까지 먹을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 어떤 문제를 낳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밖에 나가면 정말 고기음식 뿐입니다.
또는 고기 전혀 안들어간 음식 찾기가 정말 힘듭니다.
그런 상황에 그런 고기가 따뜻한 피가 흐르고 희로애락과 고통을 느끼는 동물과 관계되는 것이라는 것을 진심으로 생각해보는 사람은 거의 없지요.
너무나 당연한 먹을거리라 여기기 때문에, 그것들이 얼마나 잔인하게, 부당하게, 반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하지 않습니다.
먹이사슬의 하나로만 여기지만, 실제 자연에서는 그렇게 좁은 공간에 가둬키워 수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는 것, 인간은 지금 고기를 지나치게 많이 먹기 위해 대량사육하느라고 무시무시한 방법으로, 결국은 지구와 인류까지 멸망시킬 방법으로 동물들을 학대고문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하든 바로잡아야 할 인간과 소,돼지,닭과의 관계.
그런데 인간과 개의 관계도 그렇게 만들어가겠다는 것입니다.
더구나 정부도 반려동물 보호 필요성을 느껴 반려동물 보호 정책을 펴려고 하는데, 한편에서 인간과 개 사이에 그런 암울하고 모순된 관계가 형성되고 고착 확대되면 어찌 될까요?

개에 관심이 많으시다 하여 제 의견을 덧붙여보았습니다.
이제까지와는 조금 다르게 고민해봐 주세요~^^

소금연못 2008-08-02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와 사람이 아름답게 공존할 방법이 뭔가요 ? 정말 몰라서 .....
저는 개를 마당에서 키우다가 (실내에서 인간과 함께 개가 살아간다는 것을 정말 싫어합니다 )식량이 부족하면 먹기도 하고 -.-;;(저는 안먹습니다만)
개고기에 관심없는 사람은 늙어죽을 때가지 개를 기르면 되고 ...(일본 만화'개를 기르다 ' 보면 개가 죽을 때까지 같이 살죠)
그런게 인간과 개가 공존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채식만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대개 동물들 살은 별로 안좋아하는데
그건 걔네들을 존중해서가 아니라 그냥 식성이 그런 거고
그러나 도륙당해서 거꾸로 걸린 동물들 고기덩이를 보면
그나마 가끔 먹는 육식을 끊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소금연못 2008-08-02 0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려동물...이라는 것에 별로 관심도 없고
'개가 사람보다 낫다' 고 말하는 사람들을 흘깃 ~ 한 번 보는 습관때문에
동물학대...그런 관점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