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화를 내고 말았습니다
마스다 미리 지음, 권남희 옮김 / 이봄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감정의변화에 민감한 사람이 있다.
특히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을 보면 뭐라 말하지도 못하고 그저 참을 수 밖에 없다는 현실이 서글프다. 그런 사람과 같이 일을 한다는것은 더욱 비참 할 뿐이다.
가장 좋은 해결책은 빠른 수긍과함께 다음 행동으로의 저지다.
겪어본 봐에 의하면 성질이급하고, 화를, 분노를 조절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이기주의자가 태반이고, 자기중심적이며, 오로지 자신밖에 모는다는것이다. 다수의 경험에 의한 솔직한 느낌이다.

화를 내는 것이 몸에 나쁘다고 하지만, 화를 내지 않고 싱글벙글 웃으면서 사는것이 가장 좋은 줄은 알지만, 아마 이 세상에서는 불가능 하지 않을까.
화도 여러 종류가 있다.
울꺽 치밀어 오르는 화, 때려주고 싶을 정도의 화, 폭발직전의화.
이따금 너무 화가나서 이불을 푹 뒤집어쓰고도 진정이 안 될 때가 있다.
이렇게 말했으면 좋았을걸, 저렇게 반론 했으면 좋았을걸.
머릿속으로 분노가 소용돌이치기 시작하면, 화가 하늘까지 닿을듯한 꽈배기엿처럼 길어져서 이내 마음이 무거워진다.
하지만 그것은 그나마 속 편한 화다.
나는 잠 못 이룰 정도로 화가 나있는 자신에게 언제나 질문한다.
˝그 화에 슬픔은 있니?˝
슬픔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면, 그렇게 대단한 화가 아니다.ㅡ서문중에서ㅡ

이토록 몸과마음을 아프게 하는 ‘화‘ 때론 적당히 필요할 만큼 분출하는것이 좋을것같다.
아무말 안하고 이래도 흥 저래도 흥 하다보면 우습게 보는것이 요즘세상 이다.
화는 안내더라도 적당히 할 말은 하면서 가끔가다 큰소리도 한 번 치다보면 쉽게는 안 본다는, 경험에서 나온 나름의 감정표현 이랄까?
저자가 겪었던 무수히 많은 화 를 참고 겪었던 일들을 글로써 산뜻하게 해소하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룬다.
마스다 미리 자신이 반응 하지 못했던 무수한 감정의 응어리를 모두 모아 한 꺼번에 떠트린 느낌이다.
참지마세요! 때론 적당히 풀고 살아야 인생이 편안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