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러, 오아시스
이경준 지음 / 산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사람들은 모르겠지만 나는 정말 상전벽해를 느낀다. 중학교 때 집에 들어오던 신문 토요일판 에 실리던 빌보드 차트 1위는 휘트니 휴스턴이나 머라이어 캐리였다. 지금은 덜하 지만 아카데미나 빌보드라는 이름이 가지는 권위는 제2세계 주변국의 중학생에게는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그 빌보드 차트를 한국출신이 지금 석권한다는 게 믿기지 않는 것이다. 40대 중반의 아저씨는 그 그룹의 음악을 들어본적도 없고 관심도 없다. 그리고 그 그룹에 열광하는 외국의 틴에이저들(분명 나는 그들도 선망했을 것이다.)을 보며 '재들이 정신에 무슨 문제가 있나?'하고 불퉁한 감상도 든다. 그럴 때 블러와 오아시스라니, 역시 내가 동경했지만 되지 못한 아이콘 아닌가. 축구로 치면 축구주변국인 한국의 꼬마가 메시나 호날두를 바라보는 격이다.  군대시설 정훈실에서 있는 what's the story of morning glory를 테이프로 복사해서 무한반복한 기억이 난다. 하지만  블러와 오아시스의 역사를 설명한 이 책의 첫인상이 시대착오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는게 우습다.(bts가 대세인 지금?) ㅎㅎ. 물론 두 그룹의 팬들은 여전히 유입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리암 갤러거가 방한했을 때 재킷이 찢어졌겠지. 

예전에 강신주박사가 "학생들이 비트겐슈타인을 좋아하게 만들고 싶으면 선생님이 비트겐슈타인을 정말로! 좋아하면 된다"라고 말했던 게 기억난다. 아마도 진심의 의미정도를 설명한 듯 싶다. 아마 그런 진심을 이 책의 저자도 갖고 있지 않았을까. 블러와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브릿팝의 흥망성쇠가 그야말로 매끈하게 뽑혀져 나온다. 아마 강헌의 책보다도 더 매끈하지 않을까 싶다. 깊이야 내가 음악평론가가 아니니 판단할 건 아니고.유투브 보는 느낌으로 책을 읽을 수 있다. 블러와 오아시스 말고도 브릿팝의 군웅들이었던 다른 그룹들도 소개되어 있으니  검색해가며 들으면 브릿팝의 핵심요약 정리가 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원석씨의 <서평쓰는 법>을 통해 이 책을 알게 되었다. 이원석씨는 서평을 책의 내부로 들어가는 서평과 책과 책 사이의 관계로 들어가는 서평을 구분하는데 이 책이 책과 책 사이로 들어가는 서평의 모범사례로 소개되어 있다.  과연 이 책의 내용을 내용을 요약해보라면 서구문명사의 흐름을 그 시대의 징후라고 할 수 있는 책과 연결시키며 길가메시서사시부터 다윈의 진화론까지를 일별하고 있다.  강유원이라는 저자는 <몸으로 하는 공부>로 알게 되었는데 이원석의 소개로는 예전에 고미숙씨의 책을 찐하게 씹은 적이 있다고 한다. <몸으로 하는 공부>를 읽은 다음에 이거다 싶은 마음에 중고를 배로 주고 산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 저자는 뭔가 틀리다, 하는 느낌이 있었던 것 같다. 기존의 담론과는 달리 급진적이고 가식이 없는 느낌이라고 할까. 철학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찾아보면 강신주보다 조금 더 먼저 나온 비슷한 유형의 지식인 셀럽? 같은 느낌이 든다. 헤어스타일부터 시작해서 파격을 내세우며 거침없는 발언에다 김어준과 엮인 것 까지 비슷하다. 차이점은 강신주는 계속 흥행했는데 이분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 정도.진짜 대가는 쉬운 말로 그림을 그릴 줄 안다고, 서구지성사(?) 정도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싶은 사람에게 적당할 것 같다. 물론  책이 서구지성사 전부를 커버하지는 않는다. 한 줄기 흐름정도만 보여주고 있다. 이정도까지는 무난한데 정작 눈길을 끄는 부분은 책의 서문이다. 저자는 "병든 자들이 책을 읽는다"고 말한다. 저자의 구분은  "실제로 살아 퍼덕거리는 현실 "과 그런 현실로부터 뽑아낸 책이라는 죽은 현실이다. 파우스트에 나오는 "모든 이론은 회색" 같은 느낌이랄까. 책을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소수의 음모라고 한다. 이건 그냥 호기일 수도 있다.  남들과 다른 파격을 주장하고 싶으니 괜히 으름장을 놓는 것인지도 모른다.  매리언 울프의 <다시 책으로> 에 나오는 수많은 독서 상찬론은 뭘까? 저자의 비판대로 라면 모든 미디어는 죽은 현실 아닐까? 우리가 책을 읽고 성찰을 하는 이유는 살아 펄떡거리는 현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 아닐까? 저자의 관점에는 "텍스트"는 "컨텍스트"로 부터 도출되는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하지만, 만약 텍스트조차 인간이 만들어내는 컨텍스트라면? 마치 인터넷 세상은 리얼이 아니라고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인터넷 세상이 리얼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 여기서 교훈: 여튼 기억에 남고 싶으면 기존의 상식과는 다른 주장을 하라. 일단 스타일을 잡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의 인생 강의 - 낙타, 사자, 어린아이로 사는 변신의 삶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처럼 갑론을박이 겹치는 철학자가 있을까. 아마 원서보다 관련 서적이 더 많을 듯하다, 예를 들어 칸트나 헤겔과 비교해 보면 더 도드라질 듯 하다. 지금 돌이켜보면 거의 문학적으로 인용되는 철학자가 아닌가 한다. 고병권씨 강의도 좀 문학적이었던 것 같기도..이 책은 기존의 저서들과 비교하면 크게 다르지 않고 평이해서 편하게 읽을 수 있다.  한 때 니체에 빠졌지만 이제 니체는 모순과 미완성의 철학처럼 느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니체는 시원한 사이다 같은 느낌이고 이 책 역시 마찬가지다.무구한 대지 위에서 중력을 무시하고 뛰어오르는 무용수나 창문 밖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이 떠오른다. "이것이 삶인가, 그렇다면 다시 한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자의 뇌가 멈춘 날, 개정판
질 볼트 테일러 지음, 장호연 옮김 / 윌북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니어바우어의 <자네 좌뇌한테 속았네>를 통해 이 책을 알게 되었다. 뇌졸증을 극복한 인간승리의 이야기가 아니다. 물론 그런 면도 있지만, 이 책에서 짚어야 할 부분은 좌뇌가 멈춘 상태가 함의하는 것이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뜬금없이 좌뇌, 우뇌 냐고 하시는 분들은 스티븐 니어바우어의 책이나 칼 세이건의 <에덴의 용>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뇌의 기능분화를 명상이나 종교적 체험과의 연결시키는 논의는 70년대부터 있어왔다. 스티븐 니어바우어의 의견에 따르면 지금 과학계,심리학계가 이런 연구들의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고 한다. 뇌과학자인 저자는 자신이 경험한 뇌졸증의 상태를 상세히 묘사한다. 그런데, 이 경험이 묘하게 불교의 열반이나 힌두교의 신비체험과 비슷하다는게 주목할 만하다. 저자의 이력에 따르면 저자는 회의주의와 합리주의로 무장한 뇌과학자이다. 하지만,  저자는 불교의 열반이나 무아같은 것을 아예 진리라는 디폴트 값으로 정해놓고 그 때의 경험을 묘사하고 이후의 삶의 태도를 결정한다. 무아나 열반같은게 진리 아닐까 하고 묻는 수준이 아니다. 이미 그것은 중력의 법칙처럼 저자의 사고방식 밑에 자연스럽게 깔려 있다. 생각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저자가 뇌졸증 이후 동양의 언어를 접했을 가능성이다.  그리고, 그 언어로 자신의 경험을 해석한 것일 수 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신뢰할 만한 사람이 "내가 해봐서 아는데"의 어조로 이야기기하니 당혹스러우면서도 어쩌면 신비주의의 언어들이 정말 진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미안해요 요가난다 아저씨) 더 당혹스러운 것은 그걸 진리라고 믿는다 하더라도 지금의 내가 변할 것은 없다는 것이다. 수년전에 남산강학원에서 정화스님이 특강 중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요새는 뇌과학책 몇 권만 읽어도 부처님 말씀이 진리라는 것을 머리로는 알 수 있어요. 가슴으로 오지 않아서 그렇지"  그 때가 이미 수년전이었으니 지금의 뇌과학은 어떤 상태일까?  저자는 안전하게 뇌졸증을 경험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일반인도 경험하게 해보고 싶다고 한다. 그리고, 정신적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동정의 시선이 아닌 이해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다고 한다.  겉보기와는 달리 그들이 내적으로는 열반에 도달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네, 좌뇌한테 속았네! - 동양철학과 선불교를 위한 뇌과학 교과서
크리스 나이바우어 지음, 김윤종 옮김 / 불광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는 올해의 책이다. 평범한 과학교양서 같은 제목과 달리 원제 "NO SELF, NO PROBLEM"이 더 나을 뻔 했다. 이 책은 동양사상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신경과학자의 눈으로 깔끔하게 해석하고 있다. 저자는 학창시절에 아버지를 잃고 정신적인 고통에 시달리다 신경과학자의 길을 택했다고 한다. 하지만, 신경과학과 뇌과학이 고통을 덜어줄리는 만무했고, 저자는 동양사상을 기웃거리다 고대의 현자들이 말하던 지혜들을 현대의 신경과학이 증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 결과인 이 책은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 무아를 신경과학과 깔끔하게 연결하고 있다. 저자의 어조로 보아 학계에서 저자의 주장이 주류는 아닌 것 같은데 내 느낌으론 이 분야, 블루오션이다. 거기다 이 책은 두꺼운 학술서적이 아니다. 저자는 최대한 쉽고 간결하게 깨달음이라는 것이 현대과학의 관점으로 어떤 의미인지를 서술하고 있다. <삐리리 불어봐 재규어>에 나오는 재규어 처럼 사는게 즐거워 죽겠는 사람은 관심없겠지만 세파라는 것에 한번이라도 뒤집혀서 고통을 해결시켜준다는 불교나 동양사상을 기웃거려 본 사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탈이나 무아, 열반같은 개념이 당최 감이 잡히지 않는 사람에게 일독을 권한다.


PS 읽고 나면 왠지 섭섭한 느낌이 든다. 오래된 친구를 뺏긴 기분이랄까. 불교하면 우리 전통이라는 느낌이 강했는데 불교를 새롭게 발견하고 생명력을 불어 넣고 있는 것은 서구이다. 더불어 동양사상에 대한 신비감도 많이 사라진다. 해탈이나 무아에 대한 의미와 상태를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짚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