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원석씨의 <서평쓰는 법>을 통해 이 책을 알게 되었다. 이원석씨는 서평을 책의 내부로 들어가는 서평과 책과 책 사이의 관계로 들어가는 서평을 구분하는데 이 책이 책과 책 사이로 들어가는 서평의 모범사례로 소개되어 있다.  과연 이 책의 내용을 내용을 요약해보라면 서구문명사의 흐름을 그 시대의 징후라고 할 수 있는 책과 연결시키며 길가메시서사시부터 다윈의 진화론까지를 일별하고 있다.  강유원이라는 저자는 <몸으로 하는 공부>로 알게 되었는데 이원석의 소개로는 예전에 고미숙씨의 책을 찐하게 씹은 적이 있다고 한다. <몸으로 하는 공부>를 읽은 다음에 이거다 싶은 마음에 중고를 배로 주고 산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 저자는 뭔가 틀리다, 하는 느낌이 있었던 것 같다. 기존의 담론과는 달리 급진적이고 가식이 없는 느낌이라고 할까. 철학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찾아보면 강신주보다 조금 더 먼저 나온 비슷한 유형의 지식인 셀럽? 같은 느낌이 든다. 헤어스타일부터 시작해서 파격을 내세우며 거침없는 발언에다 김어준과 엮인 것 까지 비슷하다. 차이점은 강신주는 계속 흥행했는데 이분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 정도.진짜 대가는 쉬운 말로 그림을 그릴 줄 안다고, 서구지성사(?) 정도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싶은 사람에게 적당할 것 같다. 물론  책이 서구지성사 전부를 커버하지는 않는다. 한 줄기 흐름정도만 보여주고 있다. 이정도까지는 무난한데 정작 눈길을 끄는 부분은 책의 서문이다. 저자는 "병든 자들이 책을 읽는다"고 말한다. 저자의 구분은  "실제로 살아 퍼덕거리는 현실 "과 그런 현실로부터 뽑아낸 책이라는 죽은 현실이다. 파우스트에 나오는 "모든 이론은 회색" 같은 느낌이랄까. 책을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소수의 음모라고 한다. 이건 그냥 호기일 수도 있다.  남들과 다른 파격을 주장하고 싶으니 괜히 으름장을 놓는 것인지도 모른다.  매리언 울프의 <다시 책으로> 에 나오는 수많은 독서 상찬론은 뭘까? 저자의 비판대로 라면 모든 미디어는 죽은 현실 아닐까? 우리가 책을 읽고 성찰을 하는 이유는 살아 펄떡거리는 현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 아닐까? 저자의 관점에는 "텍스트"는 "컨텍스트"로 부터 도출되는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하지만, 만약 텍스트조차 인간이 만들어내는 컨텍스트라면? 마치 인터넷 세상은 리얼이 아니라고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인터넷 세상이 리얼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 여기서 교훈: 여튼 기억에 남고 싶으면 기존의 상식과는 다른 주장을 하라. 일단 스타일을 잡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